정부, 전국 자살사망자 7만명 전수조사…지역별 자살 해결방법 찾는다

정부, 전국 자살사망자 7만명 전수조사…지역별 자살 해결방법 찾는다

기사승인 2018-05-08 12:00:01
스스로 목숨을 끊는 자살을 선택하는 이들의 경우 지역별로 특성이 있어 해당 지역 자살예방 사업에 이러한 특수성을 반영해야 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역의 자살문제는 성별·연령별 자살률과 자살원인, 자살 수단과 방법, 장소 등이 전국적인 동향과는 다른 특수성이 있는 것을 나타났다.

보건복지부는 최근 5년간 발생한 자살사망자 7만명에 대한 전수조사를 실시하기 전 3개 시·군·구에 대해 자살 사망자 전수조사를 시범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보건보지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3개 시·군·구에 대한 자살사망자 시범 조사 결과 자살 장소의 경우 특정 아파트와 야산에 집중·반복적으로 자살이 발생했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특정 자살수단이 빈번하게 동원됐고, 자살사망자의 자살 원인도 만성질환과 우울감, 실업 등이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살발생 지점 △자살수단 및 방법 △자살의 원인에 있어서 지역의 특성이 타지역과 확연히 구분되는 경우로, 해당 지역의 자살 특성을 자살예방 사업에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이와 관련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은 경찰 변사자료를 활용해 지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최근 5년간 발생한 자살사망자 7만 명에 대한 전수조사에 본격 착수한다.

‘자살사망자 전수조사’는 지난 1월 23일 국무회에서 확정된 ‘자살예방 국가 행동계획’에 따라 추진되는 것으로, 앞으로 2년 동안 전국 254개 경찰관서를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된다.

전수조사는 중앙심리부검센터(센터장 전홍진) 소속의 전문 조사요원 30명이 투입돼 254개 경찰관서를 방문해 자살사망자에 대한 경찰 변사사건 조사기록을 확인하고 자살원인 파악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게 된다. 정부는 수집된 정보를 분석해 자살 추정 원인과 특성 등 효과적인 자살예방사업 추진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전수조사는 자살사망자 수와 자살률, 조사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서울, 충남(세종포함), 충북, 강원, 대전 지역과 자살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실업률이 특히 높거나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는 거제·통영·군산지역을 우선 조사대상 지역으로 선정했다.

이번 조사는 지난 2일 서울 중부·남대문 경찰서를 시작으로 서울(5월~8월), 거제·통영·군산(9월), 충남‧충북(10월~11월), 강원(11월), 대전(12월)의 순으로 진행된다. 경찰서 별 조사가 완료되는 것과 동시에 해당 지역의 자살 특성을 분석·정리하도록 해 조사결과가 최대한 신속하게 지자체 자살예방 사업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번 조사는 통해 기존의 자살률 통계와 자살사망자 심리부검 조사를 보완하는 것으로 지역별 자살특성을 포괄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자살사망자 전수조사는 기존의 자살통계 자료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마을단위(읍면동) 자살특성, 관내·외 거주 여부, 정확한 사망 장소․빈발지점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자살유가족의 신청·진술에 의존하는 심리부검 조사와 달리 다양한 사람의 진술에 의한 보다 객관적인 정보를 단시간 내에 비용효율적인 방법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정부는 이번 전수조사 결과가 완료되면 각 지자체에서 특히 유의해서 관리해야 할 지역이 있는지, 어떠한 자살수단과 대상에 집중해 자살예방 사업을 추진해야할지 파악하고, 이 근거에 기반 한 효과적인 자살예방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보건복지부 자살예방정책과 전명숙 과장은 “이번 전수조사를 통해 각 지자체가 해당 지역의 자살특성을 고려한 전략적인 자살예방 사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전수조사 결과를 향후 건강보험 데이터 등 기존 공공데이터와 연계하고 지역별 실업률 등과 비교·분석해 자살률 감소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자료를 많이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