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리코박터 맞춤치료, 부작용 낮고 효과 우수

헬리코박터 맞춤치료, 부작용 낮고 효과 우수

기사승인 2020-04-20 12:26:00

[쿠키뉴스] 전미옥 기자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1차 치료시 맞춤형 제균치료가 효과는 좋고, 부작용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천대 길병원 소화기내과 정준원, 최윤이, 김경오, 박동균 교수팀은 국내 헬리코박터 감염자 환자 150명을 대상으로 맞춤형 제균군(50명)과 비스무트 기반 4제 요법군(100명)을 대상으로 1차 치료효과와 부작용 경험을 연구한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강한 산성인 위 속에서도 살아남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암연구기관(IARC)이 지정한 발암인자이다. 소화기궤양과 위암의 원인이다.

연구는 2016년~2018년까지 병원에 등록된 18세 이상의 헬리코박터 감염자 총 150명의 1차 치료법으로 A군은 맞춤형 제균(50명), B군은 비스무트 기반 4제요법(100명)이 적용됐다. A군은 헬리코박터균 제균용 유전자 증폭기술을 이용해 ‘23S 리보솜 RNA 돌연변이’ 존재 유무에 따른 맞춤형 요법이, B군은 항생제인 클라리트로마이신-저항균에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쓰이는 비스무트 기반 4제요법이 치료방법으로 쓰였다.

연구 결과, A군과 B군의 제균률은 96.0%와 95.7%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전반적인 부작용 발생률은 A군이 12.0%로, B군의 43%에 비해서 월등히 낮았다. 양 군의 대표적 부작용으로는 구역감, 구토, 설사 등이 있었다.

즉, 맞춤형 제균요법은 비스무트 기반 4제요법에 비해서 치료 합병증은 적고, 유사한 치료 효과를 보인 것이다.

그 동안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 증폭기술을 이용한 맞춤형 치료의 효과와 안전성을 1차 치료법 중 하나의 대안인 비스무트 기반 4제요법과 비교한 연구가 없었다. 

특히 국내에서도 클라리트로마이신 내성률이 15%를 초과하며 메트로니다졸 내성률도 30%이상으로 보고돼 경험적 3제요법의 제균률은 70% 아래로 떨어졌다. 이에 따라 2013년 국내 헬리코박터 치료지침에서 클라리트로마이신 내성이 의심되는 경우 비스무트 기반 4제요법이 권고사항으로 개정됐다.

정준원 교수는 “헬리코박터 제균의 주된 실패요인으로 항생제 오남용에 따른 주요 항균제에 대한 내성이 증가됐다는 점”이라며 “배경에는 항균제 오남용과 치료 부작용의 발생, 환자들의 치료 순응도 저하 등이 있고, 새로운 항균제 개발 전까지는 항균제 감수성에 따른 맞춤형 제균 치료전략이 제안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연구는 맞춤형 제균치료가 부작용이 적은 우수한 치료법으로, 1차 제균 치료시 사용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헬리코박터균은 1차 치료 실패시 항생제 내성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 2차, 3차 치료에는 보다 강력한 항생제 처방이 이뤄진다. 따라서 1차 치료 박멸이 항생제 남용 및 부작용 감소에 필수적인 요소다.

이번 연구는 세계적인 소화기 저널(World Journal of Gastroenterology) 12월호에 게재됐다.

◇헬리코박터,  위암까지 유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강한 산성인 사람의 위 속에서도 살고 있는 세균으로 국내에서도 많은 사람들 감염돼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균은 전세계 사람들의 위에서 발견되며 연령이 높을수록 감염률이 높아 60세가 되면 60%정도의 감염률을 보인다. 가족 간 감염 중 배우자 간 상호감염이 매우 많이 이뤄지고, 선진국보다는 후진국에서 감염률이 높다.

헬리코박터 제균은 소화기질환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제균 성공시 소화성 궤양이 치료되고, 재발도 잘하지 않는다.

국내 감염률도 세계 평균과 비슷하게 높을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십이지장궤양, 위궤양, 위암 환자의 최소 50% 이상이 감염됐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최근 국내 의료진에 의해 조기 위암의 내시경 치료 이후와 위암 가족력이 있는 환자들에서도 유용성이 증명되면서 더욱 제균치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김경오 교수는 “헬리코박터 제균은 많은 항생제가 사용되며 낮은 성공률로 부작용, 항생제 오남용 등이 문제되고 있다”며 “하지만 헬리코박터가 소화기궤양 및 위암 발생률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만큼 소화기궤양 질환자라면 효과적인 방법으로 반드시 제균해야 한다. 또 최근에는 제균에 대한 적응증이 점차 확장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
전미옥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