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위 둥둥’ 부유식 태양광...좁은 국토 보완책 될까

‘바다 위 둥둥’ 부유식 태양광...좁은 국토 보완책 될까

미국·중국 등 부유식 태양광 투자 단행
토지임대료 없고, 발전효율 높아 장점
설비 단가 저감, 일부 제도 보완은 과제

기사승인 2024-04-21 06:00:16
해상 부유식 태양광 발전 장치. 호주 국립대학교 홈페이지 캡쳐 

글로벌 태양광 시장의 성장세가 가파른 가운데 해수면에 태양광 패널을 띄우는 부유식 태양광에 대한 투자가 잇따르고 있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미국 내무부는 캘리포니아주, 오리건주, 유타주의 관개 운하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는 데 1900만달러(약 257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자금원은 바이드노믹스(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경제 정책)의 핵심 정책인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이며, 이번 투자는 향후 더 큰 규모의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연구 및 파일럿 형태의 사업이다.

태양광 패널로 운하를 덮어 재생에너지를 생산함과 동시에 물 증발 문제를 해결하는 두 가지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태양광 설비를 폭증하고 있는 중국은 지난해 11월 국영에너지 기업 중국전력건설을 통해 산둥성 둥잉시 라이저우만 인근 8km 해안에 발전용량 1GW(기가와트)급 해상 태양광발전소 착공에 돌입했다. 세계 최대 규모의 해상 태양광발전 프로젝트다.

프로젝트 완공 후 예상 연간 발전량은 1780GWh(기가와트시)로, 이는 표준 석탄소비량 59만4500톤과 유사하다. 이산화탄소는 144.1만톤을 감축하는 효과를 거둘 것으로 전해졌다.

부유식 태양광은 육상 발전소 대비 산림훼손을 유발하지 않으며, 토지임대료가 사실상 없고 발전효율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구조물 하단공간을 해양생물의 터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홍근기 고려대학교 교수는 “토지매입비용이 들지 않아 초기 투자비가 줄고, 수상에서 반사되는 빛으로 인해 발전량이 20% 더 발생하는 등 효율이 좋다”면서 “사업자 입장에서 궁극적으론 수익성이 높은 구조”라고 말했다.

특히 육상 태양광 발전 설비가 1MW(메가와트)당 최소 6120평의 토지를 필요로 하는 만큼, 상용화가 된다면 좁은 국토 면적으로 인해 설비 확보에 한계가 있는 대한민국에 이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보완해 나가야 할 점도 존재한다. 파도에 따라 태양광 패널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내구 설계가 동반돼야 한다. 이러한 기술력들을 접목하려면 결국 설비 단가가 상승하게 된다.

홍 교수는 “2015년 기준 육상 태양광 설비 대비 50% 이상 단가가 높았고, 최근에는 15~20%까지 좁혔지만 설비 평균 단가가 여전히 높은 편은 맞다”면서 “우리나라에 태풍이 자주 발생해 안전성 측면에서 다소 부정적 시각이 있기도 하다”고 말했다.

다만 홍 교수는 “지난 2022년 9월 태풍 ‘힌남노’가 한반도를 강타했을 당시 부산에서 해상 태양광 실증사업 결과가 성공적으로 나와 기술력을 토대로 안전성을 확보했다는 점을 인정받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인허가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익명을 요청한 업계 관계자는 “먼 바다는 파도가 강해 가까운 바다를 활용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어로 확보 등 주민수용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면서 “군작전성평가 등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제도 보완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김재민 기자
jaemin@kukinews.com
김재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