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공포, 생활 제품 속 방사능 안전 대책은?’ 토론회가 4일 오후 국회에서 개최됐다. 이날 토론회는 한국과학기자협회(회장 김진두)와 바른미래당 신용현·김삼화 의원과 함께 마련한 과학 언론 이슈토론회.
주최 측은 이번 토론회는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이른바 ‘라돈 침대’와 관련해 원인과 피해 상황, 폐암 유발 영향 정도 등을 비롯해 입증되지 않은 기능성을 강조해 국민들을 현혹하는 생활 가공 제품에 대한 방사능 안전 기준 및 관리 현황을 짚어보고자 개최됐다. 아울러 주최 측은 향후 안전 대책과 이를 보도하는 언론의 역할 등도 함께 모색키 위해 자릴 마련했다고 밝혔다.
참고로 라돈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밝힌 1급 발암 물질이다. 전체 폐암 발병의 3~12%의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어 그 심각성과 폐해가 큰 물질로 알려져 있다. 문제는 이런 방사선 물질로 가공한 제품들이 음이온 건강 제품으로 둔갑해 판매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침대, 베개, 벽지, 팔찌, 목걸이, 안대, 골프장갑, 마스크팩, 속옷까지 방사선 물질 가공 제품은 이미 우리 생활 깊숙이 침투해있다.
지난 2012년 생활주변 방사선 안전관리법이 시행되었지만, 국민들의 생활과 직결되는 가공 제품에 대한 관리는 전혀 되고 있지 않다는 게 주최 측의 설명이다. 이번 행사를 마련한 과학기자협회 김진두 회장은 “각종 기능성 제품들이 넘쳐나고 있지만 이번 라돈침대처럼 그 효능이나 기능에 대한 제대로 된 과학적 검증이나 분석이 없었던 것도 사실”이라며 “과학·의학 기자들이 관련 전문가들과 만나 그 원인과 관리, 재발 방지 대책과 피해보상, 언론의 책임 등을 함께 논의해 보고자 이번 토론회를 개최하게 됐다”고 개최 취지를 설명했다.
공동주최한 신용현 의원도 “제2의 라돈침대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하려면 현재 이러한 사태가 일어나게 된 원인과 현황, 제도적 문제점을 꼼꼼히 점검해 개선해야 한다”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생활 제품 속 방사능이 더 이상 국민을 위협하는 일이 없도록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관심과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조승연 연세대 라돈안전센터장(보건과학대학 교수)는 “라돈은 기체형태라 공간 내 분포 패턴을 알면 창문을 열거나 배기 장치를 가동해 농도를 떨어뜨릴 수 있어 어느 정도 대처 가능하니 과도한 공포를 가질 필요는 없다”며 “라돈 정책부서들을 통합 관리해 전문가 시스템을 일원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아울러 고서곤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도 “정부에서는 우선 매트리스 수거, 안전성 확인, 소비자 지원에 집중하고, 이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및 제도개선 사항에 대하여는 전문가, 소비자 단체 등의 의견을 수렴하여 범부처 종합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며 “일상생활용품에 모나자이트 사용 금지, 천연방사성물질 성분 표시 의무화 등도 추진하며, 추가적으로 신속‧철저하게 필요한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도 투명하게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는 ▶조승연 연세대 보건과학대학 교수·라돈안전센터장 ▶고서곤 원자력안전위원회 방사선방재국장 ▶김진두 한국과학기자협회장·YTN 과학재난팀장 ▶임영욱 연세대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 ▶진영우 한국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능비상진료센터장 ▶이재기 대한방사선방어학회 방사선안전문화연구소장 ▶이종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방사선표준센터 책임연구원 등의 전문가와 과학기자들이 참석했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