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8500원.
라돈을 방출하는 침대를 제조해 사회적 물의를 빚은 대진침대 측이 매트리스 한 개를 수거하는데 쓴 돈이다. 인력과 차량 등 수거에 소요된 막대한 비용 중 상당수가 혈세에서 충당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잘못은 기업이 저질러 놓고, 책임은 피해자인 국민들의 호주머니에서 빼가 해결하는 형국이다.
지난 16일과 17일 우정사업본부는 대진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집중 수거를 실시했다. 더불어민주당 신창현 의원에 따르면, 이틀 동안 수거된 대진침대 매트리스는 총 2만2627개로, 지역별로 ▶서울 6840개 ▶경인 8934개 ▶부산 1778개 ▶충청 1853개 ▶전남 404개 ▶경북 2125개 ▶전북 116개 ▶강원 332개 ▶제주 245개 등의 분포를 보였다.
수거에는 총 1만2810명의 인력차량 3563대, 장갑 2만2014개, 마스크 2만2014개, 스티커 6만개가 소요됐다. 대진침대가 부담하는 비용보존금액은 매트리스 개당 3만8500원으로 총 8억7114만 원이었다.
우정사업본부는 이 돈에서 우체국물류지원단 인력 789명과 차량, 안전장비, 스티커제작 등 수거에 투입된 비용 및 우체국 차량이용 비용이 이 금액에서 보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렇다면 나머지 인력, 1만2021명에게 들어갈 비용은 도대체 어디서 온 걸까?
신창현 의원이 우정사업본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 인력에게 들어간 돈, 즉 휴일근무 및 시간외수당은 우정사업본부 특별회계 예산에서 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즉, 대진침대 측은 수거 과정에서 자사 매트리스 개당 3만8500원으로 계약을 하되, 수거에 필수적인 인력 상당수의 비용을 대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왜 대진 측에 유리한 계약이 이뤄졌는지, 우정사업본부가 왜 이토록 불합리한 계약을 수용했는지에 대해선 아직 알려진 바가 없다. 다만, 문제가 있는 제품을 만들어 사회적 혼란을 야기한 기업의 뒷수습을 정부가 대다수 피해자인 소비자들의 세금으로 충당했다는 사실은 쉬이 납득키 어려운 지점이다.
신 의원은 “정부의 방사성물질에 대한 관리 부실이 혈세 낭비로 이어졌다. 휴일 근무에 따른 인건비도 과실이 있는 대진 측에서 부담하도록 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한편, 우정사업본부는 “추가 라돈 매트리스 수거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김양균 기자 ange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