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은행권 부실채권(고정이하여신, NPL) 비율이 전분기 대비 올랐다.
3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올해 3월 말 기준 부실채권 비율은 0.50%로 전분기 말(0.47%)에 비해 0.03%p 상승했다. 전년 동기(0.41%) 대비로는 0.09%p 높아졌다.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연체하거나 은행이 원리금 회수가 어렵다고 판단한 사실상 부실여신(채권)으로 금융사들의 건전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한다.
부실채권 규모는 13조4000억원으로 전분기말 대비 9000억원 증가했다. 기업여신 10조7000억원, 가계여신 2조5000억원, 신용카드채권 2000억원 순이다.
신규 부실채권 규모가 4조5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2000억원 감소했지만, 부실채권 정리 규모도 3조5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2000억원 감소하면서 전체 부실채권 비율이 소폭 올랐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과 가계 여신의 부실채권 비율은 각각 0.61%, 0.27%로 전분기와 비교해 모두 0.02%p씩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신용카드채권의 부실채권 비율은 1.61%로 전분기 말 대비 0.25%p 상승했다. 1금융권은 물론 2금융권의 대출 문턱도 높아지면서 취약차주들이 단기 카드대출로 몰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부실채권 비율은 코로나 19에 따른 세계적인 저금리 현상으로 2022년 9월 최저점(0.38%)에 도달한 후 계속 상승하는 추세다. 그러나 코로나 이전인 2019년 말 부실채권 비율이 0.77%였던 것과 비교하면 아직 낮은 수준이다.
대손충당금잔액은 27조2000억원으로 5000억원 가량 늘었다. 다만 부실채권 증가액이 더 커서 대손충당금적립률은 지난해말보다 10.9%P 하락한 203.1%로 집계됐다. 지난해 3월 이후 줄곧 내림세다. 대손충당금적립률은 부실채권 대비 총대손충당금잔액의 비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고금리, 고물가 등 잠재리스크 현실화에 따른 신용손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