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이 각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시점인 오는 8월 1일을 열흘 가량 앞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주도하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이 무역 협상과 관련해 “중요한 것은 합의의 시점이 아닌 합의의 질”이라고 말했다.
21일(현지시간) 베선트 장관은 이날 CNBC와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에 적용할) 최대한도의 지렛대를 만들었다”며 “중요한 것은 무역합의의 질이지 합의의 타이밍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우리는 계속 (무역 상대국들과) 대화할 수 있지만 합의를 하기 위해 서두르지는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베선트 장관은 미국이 영국, 베트남에 이어 가장 최근 무역합의를 이룬 인도네시아와의 협상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들은 총 5차례 합의안(초안)을 가져 왔는데, 첫 제안이 매우 좋았지만 (미국이 더 많은 것을 요구하면서) 다시 (수정안을) 들고 왔다”며 “인도네시아의 제안은 점점 좋아졌고, 결국 환상적인 합의를 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EU와의 협상에 대해선 “우리는 EU에 거대한 무역적자를 안고 있는데, 관세의 수준은 그들(EU)에게 더 영향이 크다”고 했다. 그러면서 베선트 장관은 EU와의 협상 속도에 대해 미국 정부 내 일부 인사들이 좌절하고 있으나 EU가 이전보다 더 적극적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나서고 있다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상호관세 부과 시점인 8월 1일 이전에 주요국들과 무역합의를 매듭짓기 위해 무리한 '속도전'을 펴지는 않을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CNBC는 베선트 장관의 발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교역국에 부과하려던 대규모 관세를 단순히 협정 체결 시한이 아니라 해당 국가들을 압박해 미국에 유리한 조건을 받아들이도록 만들기 위한 또 다른 협상 전략으로 보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베선트 장관은 최근 선거를 치른 일본 정부와의 협상과 관련해 너무 강경하지 말아야 한다는 지적에 대해선 “우리의 최우선 순위는 일본의 내부 사정이 아니라 미국 국민을 위한 최상의 협정을 이끌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무역 협상이 진행 중인 국가에서 관세 시한을 추가로 연장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대통령이 어떻게 할지 지켜봐야 한다”며 “하지만 만약 상황이 다시 돌아가서 8월 1일 관세가 부과된다면, 더 높은 관세 수준이 그 나라들이 더 나은 협정을 들고 오도록 압박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베선트 장관은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러시아와 이란 제재 문제도 논의대상이라고 밝혔다. 그는 “안타깝게도 중국은 제재 대상국인 이란과 러시아의 석유를 매우 많이 구입한다”며 “우리는 (차기 미·중 협상에서) 그것을 논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미 상원에서 논의 중인 러시아 제재 법안을 언급하며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는 모든 국가는 최대 100% 2차 관세를 부과받게 된다”고 강조했다.
한편 트럼프는 지난 4월 2일 주요 무역 상대국에 상호관세율을 발표한 이후 관세 발효 시점을 90일 연기한 바 있다. 이어 유예 90일이 만료되는 지난 9일을 전후해 각국에 관세 서한을 발표하며 관세 부과 시점을 다음 달 1일로 다시 연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