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생산시설 경기·충청에 집중…공장가동률 60~70% 수준

의약품 생산시설 경기·충청에 집중…공장가동률 60~70% 수준

정부·기관의 제품생산 위·수탁, 절반 이상이 ‘긍정’

기사승인 2017-09-21 00:04:00
제약기업 생산시설이 많은 곳은 경기도와 충청도로 나타났다. 공장 가동률은 60~70% 수준으로 확인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발간한 정책보고서의 ‘국내제약산업의 동향 및 생산시설 현황 분석’에 따르면 설문에 응답한 38개 제약 기업들의 제조 및 생산시설은 총 43곳으로 나타났다.

생산시설이 위치한 지역은 경기도(26곳, 60%)가 가장 많았고, 충청도(13곳, 30%)가 뒤를 이었다.

제약기업의 5개년 평균 공장가동률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약기업의 5개년 평균 공장가동률을 산출한 결과, 기업과 제조소마다 평균 공장가동률을 산출하는 방식이 상이했는데 크게 ▲생산실적/생산능력 ▲실제 가동시간/가동가능시간 2가지 방식으로 나눠졌다.

43곳의 제조소 중 생산실적/생산능력 기준으로 24곳이 공장가동률을 산출했으며, 실제 가동시간/가동가능시간(시간 또는 일) 기준으로 16곳의 제조소가 공장가동률을 산출했다. 기타방법으로 3곳이 있었다. 

일부 100% 초과 공장가동률에 대해는 휴일 근무 및 특근 야근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자들은 5개년 공장가동률의 평균을 산출할 때 원칙적으로는 공장가동률 산출기준을 통일시키는 것이 분석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법이지만 본고에서는 제약사의 회신내용(결과)을 바탕으로 산술·기하평균을, 수치는 각 제약사의 5개년 가동률의 평균을 먼저 산출한 후 전체 평균 낸 수치라고 설명했다.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38개의 제약기업의 매출규모별 공장가동률을 분석한 결과, 상장 제약사 22곳은 2015년도 매출액 2000억원 미만의 범위에 속한 기업들이 많았고(13곳, 59%) 비상장 제약사 16곳은 500억원 미만의 매출액을 가진 기업들이 대부분(13곳, 81%)이었다. 

매출액 규모에 따른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의 5개년 평균공장가동률을 보면 상장기업의 경우 60% 이상 80% 이하의 범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었고, 100%를 넘는 기업은 1곳 있었다. 

비상장기업에서도 상장기업과 마찬가지로 매출액과 평균공장가동률 간의 뚜렷한 상관관계는 없었지만 업체별 평균 공장가동률의 차이가 상장사보다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에 따른 5개년 평균공장가동률은 38개의 기업 중 내용고형제를 생산하는 기업은 상장기업 19곳, 비상장기업 12곳, 총 31곳이었다. 

내용고형제의 5개년 평균공장가동률은 68.6%로 나타났는데 그중 상장기업의 평균가동률은 71.8%로 비상장기업의 수치인 63.5%를 상회하는 수치를 보였다. 원료의약품은 4개 기업의 회신을 기준으로 평균 57.4%의 5개년 평균공장가동률을 보였다. 

주사제의 평균공장가동률은 65.4%였으며 상장기업은 65.8%, 비상장기업은 63.9%로 확인됐다. 내용액제 63.5%, 외용액제 70.7%, 연고제 및 크림제 68.6%의 5개년 평균공장가동률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인 공장가동률은 60%~70% 수준이며, 상장기업이 비상장기업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정부나 기관으로부터 제품생산에 대한 위·수탁 의뢰가 들어올 경우 제약기업의 의향을 묻는 설문 항목에 대해서는 응답사 중 26개사(68%)가 긍정적인 견해를 보였다. 

위탁생산 의향이 없다고 답한 기업은 7개사(19%), 기타의견으로 5개사(13%)가 설문에 응답했다. 기타의견으로는 제형에 따라 생산 가능한 품목일 경우 긍정적 검토를 하겠다는 의견이 우세했으며, 위탁 물량에 대한 사전정보를 공유하기를 희망하는 의견도 있었다.

이번 설문은 정부를 중심으로 공공제약사, 공공백신의 이야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어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정부나 기관으로부터 제품 생산에 대한 위·수탁 의뢰가 있을 경우 자사의 추가 생산가능 여유(capacity)에 대해 위·수탁 제조에 긍정적 의사를 알린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정제/캡슐제의 경우 상장제약기업 중 6개사는 연간 5000만 정/캡슐 이하로 추가 생산이 가능하다고 응답했다. 연간 5000만 정/캡슐을 초과해 추가 생산이 가능하다고 응답한 기업은 7개 기업이었다.

비상장제약기업 6개사는 연간 5000만 정/캡슐 이하로 추가 생산이 가능하며, 연간 5000만 정/캡슐을 초과해 추가 생산이 가능하다고 답한 기업이 4곳이었다. 

주사제는 생산 가능한 수용량이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모두 최소 연간 3만 병/앰플에서 최대 연간 700만 병/앰플 사이에 분포하고 있었다.

위·수탁 생산을 의뢰받은 경우 제약 기업이 선호하는 경제적 보상방법과 관련해서는 ▲전량 보험약가 구매 ▲원가구매 ▲전량장기계약 ▲기타의견 4개 부문으로 구분해 조사(중복응답 포함)했다. 

그 결과, 상장기업과 비상장기업 간의 명확한 보상형태의 차이를 보였다. 상장기업의 경우 다양한 의견이 나왔던 기타(52%)를 제외하면 전량보험약가구매(26%)를 가장 선호했으며, 비상장기업은 전량장기계약 방식(54%)을 가장 선호했다. 

희망하는 전량장기계약기간은 1년부터 10년까지 기업마다 편차가 있었다. 상장기업이 제시한 기타의견 중에는 상황과 품목에 따라 경제적 보상방법을 달리해야 한다는 의견과 ‘제조원가 + 기업이윤’으로 보상을 받기 희망하는 의견이 주로 많았다. 그 외 ‘장기계약 + 계약 기간 내 원재료비 인상을 반영하는 수익성 보장’ 등 정부나 기관으로부터 정책적 지원을 희망하는 의견도 있었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조민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