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풀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카카오모빌리티가 또 다른 암초를 만났다. 대리업계에서도 카카오 측에 반기를 든 것이다.
전국대리운전노동조합은 29일 경기도 판교 카카오모빌리티 사옥 앞에서 카카오드라이버의 ‘프로서비스’ 철회를 요구하는 2차 집회를 열었다. 이날 노조 측은 프로서비스가 매월 2만2000원의 이용료를 받아가고 있지만 보장했던 효과는 없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11월 출시된 프로서비스는 가입 후 매달 일정 금액을 내면 제휴사 콜에 대한 우선권을 제공한다. 아울러 미가입 대리기사보다 먼저 주문을 받을 수 있는 ‘프로단독배정권’을 매일 2개 지급한다.
김주환 노조 위원장은 “(해당 서비스는) 카카오 측이 더 많고, 빠르고, 좋은 콜을 제공하기 위함이라고 포장하고 있다”며 “반대로 이용료를 내지 않으면 적고, 느리고, 나쁜 콜을 제공하겠다는 협박이나 다름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가입자가 늘면 결국 좋은 혜택을 볼 수 없을 것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택시업계가 주최한 집회만큼 대규모는 아니었지만 카카오 측은 골머리를 앓게 됐다. 지난해부터 카풀 문제로 갈등을 빚어온 택시업계와 대화를 시작한 상황에서 악재가 추가된 것이다.
현재 더불어민주당과 정부, 택시·카풀 업계가 참여하는 사회적 대타협기구는 지난 25일 택시와 플랫폼 기술을 결합한 택시산업 발전 방안을 논의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자가용이 아닌 택시를 중심으로 공유경제를 이루겠다는 뜻이다.
사실상 카카오 측이 한 발 물러났다고 볼 수 있다. 이미 카풀 베타테스트, 정식서비스 등을 중단한 카카오모빌리티로 다시 한 번 양보한 셈이다. 관련 기구가 우여곡절 끝에 출범한 것도 카카오 측의 역할이 컸다.
일각에서는 업계와의 마찰이 반복되면 카카오모빌리티의 모든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운영되기 힘들 것으로 전망한다. 택시업계가 카풀을 반대해 온 움직임이 향후 다른 업계에 표본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국회 역시 여론을 의식, 무조건 카카오 측에 힘을 실어줄 수도 없는 상황이다.
일단 카카오모빌리티는 관련 업계와 최대한 상생할 수 있는 방향을 찾겠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주환 카카오모빌리티 대표의 성향상 업계 반발을 뚫고 서비스 출시를 강행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함께 가겠다는 의지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여전히 카풀 문제는 논의 단계에 있고 향후 제2의 택시업계, 대리업계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카카오 측의 결단에 따라 서비스 출시 시기가 달라질 것”이라고 전했다.
김도현 기자 dobest@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