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9혁명 60주년 기념 소설집 “민주를 지켜라!”

4·19혁명 60주년 기념 소설집 “민주를 지켜라!”

기사승인 2020-04-21 11:27:46

-60년 전 거리로 나선 청소년들역사를 바꾸다-

[쿠키뉴스] 곽경근 대기자 =이 책 민주를 지켜라!4·19혁명 60주년 기념해 서해문집에서 펴낸 청소년문학 여덟 번째 소설집이다2020년은 4·19혁명 60주년이자, 18세 이상 청소년에게도 투표권이 주어진, 뜻 깊은 해다. 이 책은 지난 혁명의 의미를 되새기는 것은 물론, 첫 선거를 맞이한 청소년들에게 민주주의의 역사를 소설로 보여 준다. 지난해 펴낸 3·1운동 100주년 기념 소설집인 대한 독립 만세를 통해 청소년들에게 독립운동의 역사적 의미를 소설로 잘 풀어내 보여 줬던 다섯 작가가 다시 한 번 의기투합해 완성한 결과물이다.

이 책에서는 교과서를 비롯한 다른 매체를 통해 많이 알려진 마산지역과 4·19혁명의 현장과 인물은 다루지 않는다. 그 대신 제주, 서울, 수원, 광주, 대구에서 일어났던 시위와 인물을 중심으로 풀어낸다. 당시 전국적으로 일었던 혁명의 열기를 고스란히 전하고 다양한 현장의 모습을 보여 주기 위해서다. 대구 2·28 학생 시위를 시작으로, 4·3사건 진상 규명으로까지 이어졌던 제주 지역을 책에 담은 것은 그런 면에서 큰 의미가 있다.

 그 밖에 이 책에서 다루는 광주의 전남여고·수원의 수원농고·서울의 동성중고 학생들의 시위 역시, 나름의 의미와 역사성을 담고 있다. 한편, 다섯 작가가 소설로 풀어낸 혁명의 모습은 모두 실제 이야기를 바탕으로 했다는 점을 눈여겨 볼만하다.

 한편, 각 소설을 시간 순이 아닌 현재와 가까운 시기부터 배치한 것은, 역사의 시간을 거슬러 감으로써 4·19혁명이 갖는 역사적 의의를 더 입체적이고 선명하게 느낄 수 있으리라는 기대 때문이다.

각 소설의 내용과 특징은 다음과 같다.

4월의 뒷날, _ 제주/ 신여랑

제주도는 지리적 특성과 4·3사건이라는 특별한 기억과 역사 때문에, 다른 곳과는 달리 4·19혁명이 늦게 일어났다. 하지만 오히려 그런 특성 때문에 제주의 4월은 더 특별히 기억할 만하다. 신여랑 작가가 이러한 특별함을 소설로 잘 풀어냈다. 혁명 당시 시위를 주도하다 좌절된 제주대 학생들이 1년여 뒤 4·3사건 진상 규명을 위해 다시 활동하다 붙잡힌 이야기를 통해 제주에서의 ‘4을 하나의 사건이 아닌 이어지는 역사의 모습으로 보여 준다.

그날, 화요일_ 서울/ 윤혜숙

혁명 당시 가장 많은 사람이 모였음은 물론, 치열했던 곳은 아마 서울일 것이다. 그런 서울에서도 특별한 시위를 이끈 주인공이 바로 동성중고 학생들이다. 이들은 폭력을 사용하지 않고, 오로지 구호와 행진만으로 시위를 이끌었고, 이에 자극받은 많은 대학생과 시민 들이 함께하는 시위로 역사에 남았다. 윤혜숙 작가는 작품에서 동성중고 학생들이 어떻게 시위를 준비했는지부터 시위의 마지막까지를 짧지만 세밀한 묘사로 표현해 냈다.

금남로의 잔 다르크_ 광주/ 박경희

일제강점기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던 광주에서는, 40여 년 뒤 일어난 민주주의 혁명에서도 학생들의 의지와 열정이 그대로 이어졌다. 박경희 작가는 그중에서도 여학생들의 시위에 주목했다. 역사적으로 큰 사건에서 주로 소외되었던 여성과 학생에 눈길을 돌린 것이다. 또한 작가 특유의 섬세한 감정 묘사와 아기자기한 내용이 잘 어우러진 점이 눈길을 끈다.

종이 울리면_ 수원/ 이상권

이상권 작가는 수원농고 학생들의 열띤 시위를 특유의 잔잔한 묘사로 표현해, 다른 작품들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특히, 시위 현장의 치열함이나 역동적인 모습보다는, 시위를 준비하는 학생들의 고민과 그 내면에 좀 더 집중했다. 혁명이라는 큰 줄기를 이끈 뿌리로서 학생들의 역할을 더 부각시켜. 마치 당시 학생들의 속내를 있는 그대로 들여다보는 듯하다.

백만 학도여, 반월당으로_ 대구/ 정명섭

대구에서 일어난 2·28 학생 시위는 4·19혁명의 도화선이었다. 3·15 부정 선거가 일어나기 전, 또 김주열 열사의 시신이 발견되기 전, 이미 대구에서 혁명의 불씨가 붙은 것이다. 정명섭 작가는 이처럼 대구 시위가 갖는 역사적 의미를 잘 파악하고, 전달하기 위해 마치 다큐멘터리 같은 작품을 완성했다. 당시 경북고를 비롯한 대구 지역 학생들이 왜 시위에 나서게 되었는지, 또 그 결과는 어떠했는지를, 친절하면서도 꼼꼼한 묘사로 보여 준다.

 kkkwak7@kukinews.com

곽경근 기자
kkkwak7@kukinews.com
곽경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