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최기창 기자 =체육계의 폭력과 비리 등을 해결하기 위해 설립한 ‘스포츠윤리센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해당 조직의 전문성 부족과 맞물려 체육계 내부의 부정적인 시각이 원인인 것으로 풀이된다.
임오경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대한체육회로부터 제출받은 회의록을 분석한 결과 체육회 내부에서조차 스포츠 인권 증진에 관한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회의록에 따르면 지난해 8월 스포츠윤리센터가 출범한 이후에도 선수들의 인권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상황이다. 운동선수들의 인권을 지켜줄 기구에 관한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스포츠윤리센터에서 스포츠인권기능을 다 담당할 수 없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드러났다.
A이사는 올해 4월 열린 이사회 회의에서 스포츠인권 기구에 관한 혼란을 지적했다. 그는 “스포츠윤리센터라는 것도 있고 스포츠인권실도 새롭게 명칭 변경 및 신설한다고 한다. 지금 이런 게 계속 늘어날수록 선수들이 소통할 창구가 늘어난다는 것은 좋은 일”이라면서도 “명확하게 어떻게 어떤 기구를 통해서 선수들이 본인의 인권이나 훈련권을 보장받아야 하는지 정보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B이사 역시 마찬가지였다. 그는 “스포츠윤리센터가 출범했다고 해서 모든 스포츠 인권 관련 기능을 해당 기관이 다 담당해야 되는 것은 아니다. 또 무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또한 “독립적인 조사와 거기에 따른 각 단체에 있는 공정위원회라든가 이런 쪽에 조사 결과에 따라서 징계 요청을 하게 되는 것”이라며 “스포츠인권실을 통해서 이런 것이 체계적으로 정리가 되고 확산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스포츠윤리센터가 아닌 스포츠인권실의 중요성을 강조한 셈이다.
이기흥 대한체육회장의 인식은 더욱 심각했다. 이 회장은 “전국에 실업팀이 940개 정도 있다. 이 중에서 650개를 시군구가 하고 있다”며 “여기에 1500명 정도의 지도자가 배치됐다. 어디에서 무슨 훈련을 하는지 우리가 알 수 없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계 내부에서 비리 해결‧인권 증진 등에 적극적이지 않다고 비판받는 이유다.
결국 스포츠윤리센터의 전문성과 역할을 키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울러 체육계 내부에서도 스포츠 인권 증진에 더욱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임오경 의원도 스포츠윤리센터가 체육계 인권분야의 컨트롤타워로 거듭나야 한다는 입장이다. 임 의원은 “스포츠윤리센터가 출범했지만 아직도 선수와 지도자들은 인권과 폭력 등 사건 해결을 어디서 해야 할지 갈팡질팡하고 있다”며 “대한체육회의 역량 부족은 물론 스포츠윤리센터 조사인력의 전문성 미흡, 조직의 비효율적 운영 등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스포츠윤리센터가 기획조정‧컨트롤타워 등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근본적인 처방을 해야 한다”며 문화체육관광부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mobydic@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