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 동안 신체적·정신적으로 아프지 않고 살아가는 기간을 뜻하는 ‘건강수명’이 소득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남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을 분석한 결과 소득 상위 20%의 건강수명은 2011년 71.8세에서 2021년 73.4세로 1.6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소득 하위 20%는 64.7세에서 65.2세로 0.5세 늘어나는 데 그쳤다.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건강수명 격차가 10년 새 7.1세에서 8.2세로 더 벌어진 것이다.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의 건강수명은 평균수명에서 질병이나 부상으로 활동하지 못한 기간을 뺀 기간으로 ‘얼마나 오래, 건강하게 사는가’에 초점을 두고 산출한다.
건강수명뿐만 아니라 자살 사망률, 고혈압 유병률 등도 소득에 따른 격차가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자살 사망률의 경우 2018년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의 격차가 인구 10만명당 8.9명에서 2022년 10명으로 1.1명 늘었다. 소득에 따른 치매안심센터 치매환자 등록·관리율 격차는 2018년 52.2%p에서 지난해 56.5%p로 더 벌어졌다.
암 발생률도 소득 상위 20%와 하위 20% 간 격차를 보였다. 남성은 2018년 인구 10만 명당 78.3명에서 2021년 79명으로 0.7명의 격차가 나타났다. 여성은 같은 기간 97.3명에서 117.4명으로 20.1명의 격차를 가졌다.
남성 고혈압 유병률은 소득에 따른 격차가 2018년 5.4%p에서 2022년 7.7%p로 커졌다. 남성 비만 유병률은 소득 1분위와 5분위 간 격차가 같은 기간 1.1%p에서 4.2%p로 벌어졌다.
김 의원은 “기대수명은 점점 늘어나고 있지만 소득을 이유로 건강 양극화가 심해지고 있다”며 “모두가 존엄하게 살아갈 권리가 있는데 소득, 지역 등을 이유로 건강까지 불평등해지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역별 균등한 의료시스템 편성과 보편적 복지 시스템 구축을 지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