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로 인해 올해 미국 경제가 역성장에 빠질 것으로 전망했다.
5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에 따르면 JP모건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무려 1.6%포인트 낮췄다. 지난 2년간 상대적으로 견조한 성장을 이어온 미국 경제가 관세 충격으로 인해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설 것이라는 분석이다.
JP모건의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 마이클 페롤리는 “올해 미국 경제성장률이 이전 1.3%에서 -0.3%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실업률 전망치도 상향 조정해 추가로 실업자가 거의 200만명 증가할 것으로 수정 전망했다. 앞서 페롤리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일 투자자 노트에서 상호관세가 올해 미국의 인플레이션을 1.5%포인트 올릴 수 있는 반면 개인소득과 소비지출을 억누를 수 있다며 “이 효과만으로도 미국 경제를 위험할 정도로 침체에 가까워지게 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상호관세의 평균 실효세율이 23% 이상으로, 보호무역주의가 득세했던 1차 세계대전 발발 이전 시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이같이 분석했다.
같은 날 JP모건의 브루스 카스만 미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투자자 노트에서 “올해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높아졌다”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부과한다고 발표한 10%의 기본 관세는 5일 발효됐다. 한국 등 60여개 국가에 부과한 상호관세는 9일 발효된다.
이에 대해 중국은 10일부터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맞불 관세’를 시행할 예정이다. 또 일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국가들은 미국산 수입 확대 등으로 관세율을 낮추는 전략 등 공동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