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부터 무너진 ‘국민의힘 혁신위’…“정부·여당 어부지리”

시작부터 무너진 ‘국민의힘 혁신위’…“정부·여당 어부지리”

안철수 “메스가 아닌 칼로 직접 도려낼 것…인적청산 동반해야”
송언석 “전당대회 출마하려 했다면 인선 발표 안 했다”
김철현 “친윤 주류 온건한 혁신안 유도…극단적 대결구도”

기사승인 2025-07-08 06:05:04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해 12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국회 본관에서 열린 ‘2024 국민의힘 원내대표 선출 의원총회’에 입장하고 있다. 유희태 기자

국민의힘이 혁신위원회(혁신위) 설립 전부터 ‘인적청산’을 두고 균열을 드러냈다. 안철수 의원은 혁신위원장을 사임하고, 비상대책위원회 행보를 비판했다. 정치권은 정부와 여당이 ‘국민의힘 혁신 갈등’의 정치적 이익을 볼 것이라고 전망했다.

안 의원은 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을 위한 절박한 마음으로 혁신위원장 제의를 수락했다. 그러나 혁신의 문을 열기도 전 거대한 벽에 부딪혔다”며 “비대위와 인적청산을 협의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합의되지 않은 날치기 혁신위를 거부한다. 전당대회에 출마해 혁신 당대표가 되기 위해 도전하겠다”고 덧붙였다.

안 의원은 당의 상태를 ‘중환자’에 비유하기도 했다. 그는 “12·3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대선 패배로 당이 끊임없이 추락했다”며 “목숨이 위태로운 환자의 수술 동의서에 끝까지 서명하지 않는 사람들을 보면서 자괴감을 느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렇다면 메스가 아니라 직접 칼을 들고 도려낼 것”이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완전히 절연하고, 비상식과 불공정의 시대를 끝내겠다”고 예고했다.

안 의원은 ‘인적청산’ 대상으로 ‘21대 대선 후보교체 파동’ 책임자 두 명을 지목했다. 그는 “백서TF로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관여된 바가 없다면 명예를 회복할 수 있다”며 “혁신위가 신뢰받기 위해서는 인적 청산을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대위는 안 의원의 행보가 당혹스럽다는 입장만 반복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브리핑에서 ‘인적청산’ 질문에 “안 의원이 전당대회에 나가겠다는 말을 해 안타깝다”며 “전당대회 출마선언을 했다면 비대위 의결을 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안 의원이 의사 표시를 하지 않았냐’는 물음에 “중간 과정에서 어떤 오해가 있었는지 모르겠다. 백서로 사실관계를 정리한 후 책임 여부를 결정하자고 했다”며 “그게 일의 순서가 아니냐”고 답했다.

국민의힘이 12·3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대선패배 이후에도 혁신과 거리가 먼 행보를 보이면서 수렁에 빠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이재명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을 기반으로 정책과 입법을 진행하고 있다.

7일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달 30일부터 이번 달 4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남녀 2508명을 대상으로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 평가’를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62.1%가 ‘잘함’이라고 답했다.

또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003명을 대상으로 ‘정당 지지도’ 묻자 민주당 53.8%, 국민의힘 28.8%로 양당의 지지율 차이는 25%p다. 뒤이어 개혁신당 3.2%, 조국혁신당 3.1%, 진보당 0.6%로 집계됐다.

전문가는 국민의힘 비대위·혁신위 인선을 보면 균열은 예측된 문제라고 평가했다. 김철현 경일대 특임교수 겸 정치평론가는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안 의원이 혁신위 인선에 경악했을 것이다. 본인의 혁신 방향에 맞는 인사를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며 “당은 온건한 혁신안을 유도하려 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혁신위 균열로 극단적인 대결구도만 남게 됐다. 오는 8월 중순 전당대회도 갈등의 탈출구가 될 수 없다”며 “국민의힘 내 혁신 갈등의 이익은 이재명 정부와 여당이 ‘어부지리’로 가져가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두 조사는 무선(100%)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대통령 국정수행 지지도 조사가 95% 신뢰수준에 ±2.0%p, 정당 지지도 조사가 95% 신뢰수준에 ±3.1%p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임현범 기자
limhb90@kukinews.com
임현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