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첨단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생태계가 농·어촌 등에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쿠키뉴스는 16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일자리 창출기반 지역발전 방안 모색 토론회 ‘4차산업혁명 시대를 말하다’를 개최했다. 정성훈 강원대 사범대학 교수는 이날 좌장으로 토론회에 참석했고, 김용진 서강대 경영학부 교수, 정재한 한국지역정보개발원 디지털지역혁신부 책임연구원, 이경환 전남대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교수, 조선학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성과일자리정책과장도 함께 자리해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이경환 교수는 “농·어촌 지역이 현재 굉장히 어려운 상황”이라며 “초고령화 사회로 노동인구가 없어 지역쇠퇴, 지역소멸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사회적 수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이 없다. 농·어촌 산업의 문제를 경제적으로 분석해 발전시킬 수 있는 제도와 정책 필요하다”며 “첨단기술을 적용해 새로운 채널을 만들어야 한다. 디지털변혁을 통해 기본적인 생태계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경환 교수는 “새로운 생태계 만들어지면 젊은 노동력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 생긴다”며 “우리나라도 농업 등 수출 산업을 키우기 위해 농업 첨담기술 적용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날 토론회 방청객에서는 그간 지방 농·어촌 발전을 위한 정부 정책이 미흡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한 방청객은 “IT 관련 산업에 관한 정책은 많지만 지역에서 소외되고 있는 농·어촌을 어떻게 발전시킬지에 대한 정부 가이드라인은 제시되고 있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에 조선학 과장은 “아무래도 기존 혁신이 없던 분야라 거쳐야할 단계가 많아 타 제조업보다 진도가 늦게 나간 부분이 있다”며 “이런 부분을 간과하기보다 지속해서 지켜보고 지원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답변했다.
지방자치단체 자체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재한 연구원은 “냉정하게 진단해보면 중앙정부에서 손을 놓으면 지자체 스스로 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며 “지자체를 중심으로 한 기반과 제도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I나 빅데이터 등 신기술을 활용한 4차산업혁명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양질의 데이터가 풍부하게 갖춰져야 하는데 현재 지방자치단체에는 그러한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중앙정부 차원에서 지자체가 양질의 데이터를 만들고 축적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며 “중앙부처는 데이터의 표준(종류, 유형 등)을 제시하고 지자체는 표준에 따라 데이터를 생성 및 수집하며 나아가 표준외에 지자체 특성별로 필요한 데이터들은 지자체 스스로 생성, 수집 및 활용을 할 수 있도록 정책이 추진되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민경 기자 smk5031@kukinews.com / 사진= 박태현 기자 pt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