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호 전통문화 바라보기]모악산을 오르며 여민락에 잠기다

[김용호 전통문화 바라보기]모악산을 오르며 여민락에 잠기다

기사승인 2020-04-20 11:47:37

글: 김용호 전북도립국악원 교육학예실장, 한국학 박사(Ph.D)

전라북도에 살면서 모악산을 한 번도 가보지 않은 사람은 없다고 한다. 그러한 이유로 지인과 필자도 모악산에 올랐다. 전주에서 그리 멀지 않은 거리에 있고 많은 사람이 찾는 곳이라 산을 좋아하지 않는 필자도 용기를 얻어 발길을 옮겼다.

모악산은 구전에 의하면 산꼭대기에서 아기를 안고 있는 어머니의 모습을 닮은 큰 바위가 있어 그런 의미에서 모악(母岳)이라 불린다고 한다. 산 입구에서 펼쳐진 정경은 코로나19를 무색하게 벚꽃과 홍매화로 한껏 자태를 뽐내고 있었다. 때아닌 역병이 사람들의 발걸음은 떼어 놓았지만 그래도 산을 사랑하는 이들은 거리를 두고 마스크를 쓴 채 어머니의 품을 향해 오르고 있었다.

산을 오르기 얼마 안 되어 대원사라는 사찰에 도착했을 때 한 전통음악의 선율이 어디선가 나왔는데 그것은 바로 "여민락"이었다. 이런 산 중에 궁중음악이 나온 것에 놀랍기도 했고 더욱더 놀라웠던 것은 흘러나온 선율에 등산객들이 산을 오르며 생긴 가쁜 숨을 진정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 이거였구나!" 필자는 마음속 쾌재를 부르며 온몸에 전율을 느꼈다.

여민락은 조선 세종대왕이 만든 전통음악으로 “백성과 더불어 즐기자”라는 뜻이며 본래 ‘용비어천가’를 노래하기 위해 만든 곡이다. 모두 7장으로 되어 있는데 매우 느리게 시작해서 조금 빠른 연주의 속도로 마치는 웅장하고 포근하며 아정한 궁중음악이다. 전곡을 연주하려면 무려 1시간하고도 30분이나 걸린다.

자, 그럼 필자가 느꼈던 전율을 함께 나누며 다같이 여민락에 잠겨보자. 그리하면 쉽고 재미있게 모악산 정상에 오를 수 있을 것이다.

모악산의 입구에서 대원사를 향해 가는 길은 마치 여민락 초장의 호흡처럼 가볍고 포근하며 아기의 숨처럼 따듯하다. 대원사를 지나 수왕사에 오르기 위한 험준한 여정은 마치 여민락 2장에서 3장의 긴 호흡처럼 깊다. 시간이 갈수록 산의 경사는 높아지고 호흡은 거칠어진다. 마치 여민락 3장까지 이어온 전통악기 피리의 거세고 모진 숨결처럼 모악산의 기세는 그렇게 이어진다.

여민락 초장에서 3장까지의 곡은 20박이 한 장단이다. '하나, 둘, 셋'의 수를 천천히 말한 속도가 한 박이니 그 한 박을 스무 번 부르는 것이 한 장단인 것이다. 참으로 깊고도 아정한 박자의 연주다. 수왕사에 오르는 걸음은 여민락 20박 한 장단의 호흡과 이어지면 금상첨화의 합이 된다. 느린 전통선율에 얹은 발걸음은 구름을 걷듯 그렇게 여민락의 호흡과 운율을 만든다.

수왕사에서 모악산 정상으로 가는 계단 길
모악산 정상에서 바라본 정경

수왕사에 도착하여 호흡을 가다듬고 여민락 4장부터 연주를 듣자. 4장부터 마지막 7장까지의 박자는 10박을 합한 한 장단이 기본 박으로 조금 빠르게 '하나, 둘, 셋' 수를 말하기 시작해서 '열'까지 세면 그것이 한 장단이 된다. 수왕사에서 포기하지 말고 걸음을 재촉하면 완급의 계단이 나오니 힘을 내어 여민락 5장을 듣자. 그리하면 6장을 지나 7장의 초 앞 연주가 끝날 때쯤 정상에 도착할 것이다. 그리고 정상에서 마지막 7장의 여음을 크게 들으며 숨을 깊게 쉬어 보자. 모악산 전설의 바위 어머니가 우리를 안을 수 있도록 가슴도 활짝 펴 보자.

그리하면 모악산과 과거 세종이 간직했던 사랑과 기세를 함께 느낄 수 있을 테니 말이다.

홍재희 기자
obliviate@kukinews.com
홍재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