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력봉쇄 조치 시 취업자 3명 중 1명은 정상적인 경제활동 불가”

“강력봉쇄 조치 시 취업자 3명 중 1명은 정상적인 경제활동 불가”

한은 이슈노트…“비필수·비재택근무 일자리 단기 실업위험 노출”

기사승인 2020-08-18 17:26:54

[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코로나19 발 봉쇄조치나 사회적 거리두기가 엄격해지면 필수산업이 아니면서 재택근무가 어려운 일자리는 단기적으로 실업 위험에 크게 노출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한국은행 조사국 고용분석팀(오삼일 과장, 이상아 조사역)은 필수직 여부·재택근무 가능성 여부·대면접촉도를 중심으로 어떤 일자리가 코로나19 같은 감염병에 취약한 지 조사했다. 

그 결과 비필수·비재택근무·고대면접촉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 대비 각각 42%·74%·55% 수준으로 측정됐다. 

해외 주요 문헌은 이중 비필수직이면서 재택근무가 어려운 일자리 감소를 단기 노동공급 충격으로 본다.

국내 비필수·비재택근무 일자리는 전체 취업자 35%를 차지한다. 취업자 3명 중 1명꼴이다. 주로 음식서비스·매장판매·기계조작 등 저숙련 직업이 대부분이었다. 

분석팀은 “감염병 확산으로 강력한 봉쇄조치가 시행될 경우 취업자 3명 중 1명은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 한다”고 언급했다. 

반대로 장기적으로 감염병에 취약한 고대면 접촉·비재택 근무 일자리 비중은 전체 취업자 46%를 차지했다. 

분석팀은 “고대면 접촉·비재택 근무 일자리는 고용회복까지 상당기간이 소요될 것”이라며 “코로나19 이전 고용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면서 산업별·직업별 고용 재조정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상존한다”고 언급했다. 

고용취약성은 저소득, 저학력, 청년, 여성, 임시·일용직 및 자영업자, 고용보험 미가입자 등 고용취약계층으로 여겨지는 집단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구체적으로는 고졸 이하 저 학력자가 취약 일자리에 종사할 가능성이 대졸 이상 고학력자 대비 최대 24%p 높게 추정됐다. 


분석팀은 “이는 코로나19 이후의 고용상황 악화가 소득분배를 악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 한다”고 밝혔다. 

이어 “또한 취약 계층을 중심으로 실업이 늘어날 경우 이력현상이 심화되고 고용회복 기간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력현상이란 일자리를 갖지 못하면 경험과 기술을 쌓지 못해 추후 경제호황기가 오더라도 일자리를 잡기 어려워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밖에도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취약일자리에서 취업자 감소현상이 두드러진 것으로도 나타났다. 

분석팀은 “비필수 일자리의 높은 기여도는 국내에서 봉쇄조치가 시행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경제주체들이 자발적으로 봉쇄조치에 상응하는 방식으로 대응했음을 의미 한다”고 서술했다.  

그러면서 “향후 고용회복 과정에서는 장기적으로 감염병에 취약한 고대면접촉·비재택근무 일자리의 고용부진이 이어지면서 산업별·직업별 고용재조정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자세한 분석은 한은 이슈노트와 홈페이지에 게재된 PDF파일로 확인할 수 있다.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