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이어진 진흙탕 폭로전… 김보름-박선영, 결국 법정까지

3년간 이어진 진흙탕 폭로전… 김보름-박선영, 결국 법정까지

기사승인 2021-01-21 09:54:49
김보름(좌)과 노선영(우). 연합뉴스

[쿠키뉴스] 문대찬 기자 =전 국민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던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의 ‘왕따 논란’이 법정까지 간다.

2018 평창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팀 추월 국가대표 김보름(강원도청)은 지난해 11월 노선영(은퇴)을 상대로 2억원의 손해배상청구 소송을 냈다. 

이와 관련해 20일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36부(황순현 부장판사)가 첫 변론을 열었다. 두 선수는 출석하지 않고 양측 소송 대리인이 출석해 변론을 진행했다.

김보름의 법정대리인인 법무법인 규원의 허원록 변호사는 “김보름은 피고(노선영)의 허위 인터뷰로 인해 감당하기 어려운 지탄을 받았다. 그동안 공황장애, 적응장애 등의 증상으로 장기간 정신과 치료를 받았고, 많은 계약이 무산돼 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아직도 많은 국민은 진실의 실체를 모른 채 원고를 비난하고 있다. 원고는 정신적 충격이 지속돼 소를 제기하기로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노선영 측은 이날 첫 변론에서 “폭언과 폭행이 운동선수들 사이에서 불법행위가 성립하는지 판단을 따라야겠지만, 피고는 원고보다 한국체육대 4년 선배이고, 법적으로 사회상규를 위반하지 않은 정도다. 불법행위가 된다 해도 소멸시효가 완성됐을 뿐 아니라, 이 시점에서 소송을 제기하는 게 맞는지 의문”이라고 반박했다. 또 “피고 역시 원고의 허위 인터뷰로 정신적으로 고통받은 점을 고려해 반소를 제기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둘의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오른 건 3년 전 평창 올림픽 스피드스케이팅 여자 팀 추월 준준결승부터였다. 당시 김보름과 노선영은 후배 박지우와 함께 출전해 8개국 중 7위에 해당하는 성적으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문제는 경기 내용이었다. 팀 추월은 마지막 3번째 주자가 결승선을 통과한 순서대로 순위를 가리는 경기라 협력이 강조된다. 한 선수가 처지면 자리를 바꿔 끌어주고, 밀어주는 식으로 레이스를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당시엔 마지막 두 바퀴를 남겨 놓고 노선영이 뒤처지자 앞서가던 김보름과 박지우가 멀찍이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다.

국민들의 의뭉스런 시선에 경기 후 김보름의 인터뷰 내용과 태도가 불을 붙이면서, 이날 경기는 ‘왕따 논란’으로 불거졌다. 김보름의 국가대표 자격 박탈과 대한빙상경기연맹의 적폐 청산을 요구하는 청원은 하루 만에 20만 명 이상의 동의를 얻었다. 

사태가 심각해지자 빙상연맹은 곧바로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으나, 백철기 감독과 김보름만 기자회견장에 나와 반쪽짜리 해명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그해 5월 빙상연맹 특정 감사를 실시한 문화체육관광부가 “고의성이 없었으며 작전 수립 과정에서 지도자와 선수들 사이에 의사소통 문제가 있었다”는 결론을 내렸음에도 ‘왕따 논란’의 가해자로 지목된 김보름을 향한 여론은 크게 바뀌지 않았다.

대회가 끝난 뒤에도 둘의 폭로전은 이어졌다. 

평창 올림픽 1년 뒤 열린 전국동계체전에 출전한 김보름은 오히려 자신이 노선영에게 괴롭힘을 당한 피해자였다고 폭로했다. 그는 노선영이 2010년부터 욕설, 폭언 등 가혹행위를 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노선영 측이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부정하자 김보름은 “나 외에도 많은 동료 선수들이 노선영으로부터 괴롭힘을 당했다. 관련 증거 자료를 가지고 있으며 추후 모두 공개할 용의가 있다”고 맞섰다. 실제로 김보름은 이번 소송에서 국가대표 동료 선수 5명과 코치 1명의 자필 목격담을 증거 자료로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김보름 측은 소장을 통해 “피고의 진심 어린 사과를 희망했지만, 이에 응하지 않았다. 오해를 풀지 못할 경우 2022 베이징 겨울올림픽에서도 사건의 실체를 모르는 다수로부터 비난을 받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소송을 제기한 측면도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노선영 측은 “원고(김보름)가 실제로 소송을 진행하는 것인지, 대한빙상연맹이 원고 이름을 빌려서 대리로 진행하는 것인지도 의문”이라고 맞서고 있어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mdc0504@kukinews.com
문대찬 기자
mdc0504@kukinews.com
문대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