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예방을 위해 설치한 스프링클러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 휴대전화 반입 금지 등의 조치로 신고 조차 늦어졌다는 증언이 나오고 있다. 현장 노동자들은 수많은 전기장치가 돌아가고, 택배 박스 등 인화성 물질이 즐비한 위험 상황임에도 쿠팡은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지 않았다고 이야기 하고 있다.
공공운수노조 쿠팡물류센터지회는 18일 서울 송파구 쿠팡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쿠팡에 덕평 물류센터 화재 사고의 책임 규명과 재발 방지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노조는 "오작동이 많다고 꺼 둔 스프링클러는 작동이 늦어졌고, 최초 신고자보다 10분 정도 일찍 화재를 발견한 노동자가 있었지만 쿠팡이 휴대전화 반입을 금지한 탓에 신고를 하지 못했다는 이야기도 있다"며 "화재와 노동자 안전에 대한 쿠팡의 안일한 태도가 여실히 드러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소방당국은 물류센터측이 스프링클러의 오작동을 피하려고 평소 작동을 정지시켰을 가능성에 대해 조사 중이다. 스프링클러 오작동시 물류센터 내부가 젖을 것을 우려해 미리 꺼놓기도 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박수종 이천소방서 재난예방과장은 전날 언론 브리핑에서 "오작동 신고가 있어 아마 작동을 지연시켜놨다는 얘기가 있었다"면서도 "만일 물류센터 측이 오작동으로 물건들과 설비가 젖을 것을 우려해 스프링클러를 꺼놨다가 화재가 난 뒤 작동시켰다면 수신기에 기록이 남기 때문에 조사 과정에서 밝혀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2018년 9명이 숨진 인천남동공단 전자부품 공장 화재 참사도 스프링클러 미작동이 원인이었다. 공장 측은 스프링클러 오작동을 막기위해 아예 수신기를 꺼놨던 것으로 드러나 비난을 받았다.
가연성 물질에 대한 관리도 어떻게 이뤄졌는지도 관건이다. 쿠팡 덕평 물류센터는 지하 2층~지상 4층 건물로 연면적이 축구장 15개를 합친 크기인 12만7178㎡(3만8471평)에 이르는 메가 물류센터다.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지하 2층에는 물품과 종이 박스, 비닐, 스티커류 등 가연성 물질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전날 큰 불길을 잡았다가 다시 불길이 치솟은 이유도 꺼져가던 불이 쌓여있던 가연성 물질에 옮겨붙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에 당시 건물에 진입했던 소방관 1명도 지하 2층에 고립된 상황이다.
쿠팡 덕평 물류센터 화재는 '전기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소방 당국에 따르면, 화재 신고 10여분 전인 오전 5시 20분쯤 건물 지하 2층 창고 내 진열대 선반 위쪽에 설치된 콘센트에서 불꽃이 이는 장면이 창고 내에 설치된 폐쇄회로TV(CCTV)에 담겼다.
쿠팡 노조는 "큰 전기장치는 화재 위험이 크기에 현장 노동자들이 계속 지적을 해왔던 부분"이라며 "전선이 뒤엉키고 먼지가 묻어있는 상황에서 화재 위험은 배가 된다. 평소에도 크고 작은 문제들이 있었지만 쿠팡은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거나 시행한 적이 없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쿠팡이 그동안 물류센터 확충에만 급급했던 것이 아니냐는 눈총도 나온다. 쿠팡은 정확한 숫자를 공개하고 있지 않지만 전국에 약 170여개의 물류시설을 갖고 있다. 2010년 창업 후 물류센터에 투자를 집중하며 빠르게 성장해 왔다. 이커머스 업계에서 그 누구도 하지 못하는 전국 단위 당일배송 서비스를 시작하겠다는 야심이었다.
ist1076@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