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3명은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소득 보장이라는 국민연금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는 사각지대를 메우는 등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온다.
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19세 이상 인구 10명 중 7명(69.7%)은 노후 준비를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성별로는 남자(73.6%)가 여자(65.8%)보다 높고, 연령대별로는 50대(83.1%), 40대(80.6%), 30대(74.1%)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노후를 준비하지 않고 있다는 응답도 30.3%에 달했다. 이유로는 준비할 능력 없음(38.0%), 앞으로 준비할 계획(34.3%), 아직 생각 안 함(19.0%) 순으로 조사됐다.
노후 준비 방법으로는 국민연금(59.1%)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예금·적금(15.7%), 직역연금(8.1%), 사적연금(5.4%), 부동산운용(4.9%), 퇴직급여(38%), 주택연금(1.3%) 등으로 나타났다.
주된 노후 준비 방법은 국민연금이지만, 소득에 비해 부담스럽다고 느끼는 성인이 많았다. 특히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등 사회보험료 납부 부담이 4년 전보다 증가했다. 매월 사회보험료를 납부하고 있는 사람 중 소득에 비해 느끼는 부담 정도는 건강보험(57.2%), 국민연금(57.1%), 고용보험(38.3%) 순으로 컸다.
노후 준비를 위해선 정부가 ‘노후 소득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다. 국민의 노후를 위해 사회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 것으론 노후 소득지원(36.9%)을 가장 많이 택했고, 의료·요양보호 서비스(30.1%), 노후 취업 지원(21.7%)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는 국민연금 취지인 노후소득 보장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주은선 경기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8일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노후 준비를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30% 중엔 국민연금에 가입하고 있어도 기대할 수 있는 급여가 얼마 되지 않기 때문에 노후보장 수단이라고 인식하기 어려웠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가입 자체를 못하고 있을 가능성도 높다. 규칙적인 소득이 있어야 연금 가입이 가능한데 노동시장에서의 불안정성 때문에 가입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면서 “국민연금의 노후소득 보장 기능이 약하고 사각지대가 있다는 부분과도 연관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통계청 사회조사는 10개 부문을 2년 주기로 매년 5개 부문씩 이뤄진다. 이번 조사는 지난 5월17일~6월1일 전국 약 1만9000 표본 가구 내 상주하는 만 13세 이상 가구원 3만6000여명을 대상으로 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