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전기버스에 전용 소화기…서울시, ‘리튬배터리’ 화재 대응

지하철·전기버스에 전용 소화기…서울시, ‘리튬배터리’ 화재 대응

서울시 ‘교통 분야 안전 관리 및 사고 예방 대책’ 발표

기사승인 2024-07-08 16:58:20
지난달 24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소재 아리셀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해 소방대원들이 인명수색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곽경근 대기자

최근 잇따른 리튬배터리 화재로 인한 시민들의 안전 우려가 커지자, 서울시가 리튬배터리 장착 대중교통 수단별 화재 관리 방안을 내놨다. 정부에서 리튬배터리에 대한 인증 및 안전 점검 내실화 방안 등을 마련하면, 시는 추후 이를 토대로 사고 예방 대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리튬배터리 화재 관련 교통 분야 안전 관리 및 사고 예방 대책’을 8일 발표했다. 현재 서울 지하철 역사 리튬배터리 장착 모터카는 34대, 전동차는 484대다. 전기 시내버스는 1402대, 전기 마을버스는 302대, 전기택시는 6793대가 있다. 이외에 전기버스 공영차고지 19곳, 법인택시 차고지 53곳, LPG 충전소 3곳, 공영주차장 54개곳 등 관련 시설도 있다.

리튬배터리는 화학 반응성이 높아 화재에 취약하다. 지난달 24일 경기 화성시 리튬배터리 공장 아리셀에서 발생한 화재로 23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지난 1일 서울 지하철 3호선 대치역에서 선로를 점검하는 특수차 배터리에서 불이 나기도 했다. 대부분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에는 리튬이 들어가지만, 이와 관련한 화재 대책은 부족한 실정이다.

시는 교통수단별로 맞춤형 화재 관리 방안을 시행한다. 우선 최근 화재가 난 지하철 역사 내 리튬배터리 장착 궤도모터카는 안전성이 확보될 때까지 디젤엔진 방식으로 변경 운행한다. 리튬배터리 화재 진압용 D형 소화기를 운영 모터카 전량에 배치한다. 긴급 대책으로 추진해 이달 중 완료할 예정이다.

내년 3월까지 리튬배터리함 내부 온도를 감지해 일정 온도 이상 발열 시 전용 소화액을 배출하는 자동소화설비와 배터리룸 내 소화용 질식포 자동설비장치 등 소방시설을 대폭 확충한다. 내년 연말까지 ‘리튬배터리 화재 대응 매뉴얼’을 제작해 공유하고, 철도차량용 배터리 기술 기준 제정 등 정부에 제도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청하기로 했다.

서울 시내 공영주차장에 설치된 화재용 질식 소화포. 서울시

향후 전기 시내‧마을버스에도 D형 소화기를 비치하고 운수 회사별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해 안전 운행 환경을 조성한다. 전문업체를 통한 정기 점검을 실시해 현장관리 기준을 강화하고, 화재 시 신속한 초동 조치가 가능하도록 운전자 교육에 나선다.

버스 충전시설에는 소화기 비치를 의무화한다.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과 관계기관 연락, 주변 차량 분산 등이 체계적으로 이뤄지도록 정기 합동 훈련을 실시한다. 전기택시는 화재 발생 시 운전기사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운전기사 대상 화재 예방 및 현장 대처 교육을 집중적으로 진행한다. 전용 소화기 구매 비용도 지원한다.

킥보드 등 개인형 이동장치(PM) 안전성 확보에도 팔을 걷었다. 대여업체 전수조사와 함께 기기 보관창고와 충전장 등을 현장점검한다. 공영주차장 전체에는 법정안전시설(물막이판, 질실소화덮개, 열화상카메라, 층수용 급수설비, 쌍방향 직수장치) 외에 전기차 화재진압용 대형 소화기 등 조기 진화에 필요한 소방방재 시설을 우선 설치할 예정이다.

진선영 서울시 교통기획팀장은 “정부 기관에서 국가 기준 등을 만들면 이를 토대로 시 대책도 업데이트할 것”이라며 “이날 발표한 대책은 시에서 자체적으로 선제 대응을 하겠다는 차원”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교통정책과 차원에서 행정안전부나 소방청 등 정부 관계 기관과 개선 논의 등이 이뤄지지는 않은 상태”라고 밝혔다.

리튬배터리 안전 대책 관련 정부 지침은 곧 마련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지난 4일 이상민 장관 주재로 범정부 ‘전지 공장 화재 재발방지 태스크포스(TF)’ 첫 회의를 열었다. 재발방지 TF는 이번 화성 참사와 유사한 사고 재발을 막기 위한 종합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꾸린 조직으로 과기부·산업부·환경부·고용부·국토부·소방청 등 7개 중앙부처와 경기도, 민간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리튬 전지에 대한 인증 및 안전 점검 내실화 방안을 비롯해 금속 화재 화재 대응 기술·장비 개발, 전지 업체의 유해 화학물질 안전관리 강화, 파견 일용직과 외국인 근로자를 포함한 근로자 안전 교육 및 대피 훈련 강화 등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이예솔 기자 ysolzz6@kukinews.com
이예솔 기자
ysolzz6@kukinews.com
이예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