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동석 신임 인사혁신처장이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 성추행 사건 당시 피해자를 비판하는 내용의 언론 기고문을 썼던 것에 대해 고개를 숙였다.
최 처장은 22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기억이 나지 않는데 신문에 났기 때문에 그것을 직원들이 알려줘서 SNS에 사과 말씀을 드렸다”고 말했다.
신동욱 국민의힘 의원이 “박 전 시장 성 문제 관련해 피해자와 가해자가 완전히 바뀌었다고 말한 적 있느냐”고 묻자 이같이 답한 것이다.
최 처장은 지난 2020년 7월28일 ‘박원순 사태, 가해자가 피해자로 바뀌는 경우도 흔하다’는 제목의 글을 한 인터넷 매체에 기고했다. 박 전 시장이 사망한지 10여일 뒤였다. 최 처장은 기고문을 통해 “(박 전 시장은) 치사한 짓을 하는 사람이 아니다”라며 “구차하게 변명하는 것 자체를 싫어한다. 정말이지 깨끗한 사람”이라고 두둔했다.
그러면서 “많은 이들이 어떤 증거도 내놓지 못하면서 박원순을 성범죄자로 몰아갔다”면서 “내 눈에는 직감적으로 이 사안이 ‘기획된 사건’처럼 보였다. 박원순에게 정치적 타격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사건”이라고 주장했다.
2차 가해 논란이 불거지자 최 처장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언론에서 제기된 사안과 관련해 과거 제 글로 상처받은 피해자분께 사과 말씀드린다”며 “앞으로 고위공직자로서 언행에 각별히 유념하겠다”고 했다.
최 처장은 문재인 전 대통령 비난 논란에도 휩싸였다. 그는 임명 한 달 전인 지난달 자신의 유튜브에 영상을 올리고 문 정부가 시행한 ‘고위공직자 원천 배제 7대 원칙’에 대해 “아주 멍청한 기준으로 결국 나라를 들어먹었다”고 주장했다. 문 전 대통령에 대해서도 “문재인이 오늘날 우리 국민이 겪는 모든 고통의 원천”이라며 “아직도 문재인을 칭송하는 사람이 있다. 문재인을 칭송하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