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박예슬 기자] 지난해 5월 강남역 인근에서 발생한 묻지마 살인사건으로 인해 조현병이 세간의 주목을 받은 바 있다. 당시 사건의 가해자는 정신질환의 한 종류인 조현병 환자였지만, 별도의 치료는 받고 있지 않는 상태였다.
최근에도 정신질환을 겪고 있는 자녀가 부모를 살해해 시신을 일부 훼손하거나 유기하는 등 충격적인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이렇다보니 정신질환자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사건사고들은 정신질환자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올바른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는 점이 문제라고 지적한다.
최한식 대한정신장애인가족협회장은 “약을 계속 복용하는 정신질환자들은 관리만 잘하면 일반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약 복용을 유지하는 이상 재발할 확률이 없기 때문”이라며, “그런데 약을 먹지 않아 증상이 재발되면 안 하던 행동을 하게 된다. 또한 재발이 되고 나면 증상이 장기화로 가고, 장기화가 되다보면 치유가 안 된다. 따라서 무의식 상태에서 행동하게 되고, 그러다 사고를 저지르게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 회장은 특히 부모나 보호자가 없는 정신질환자들이 재발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그는 “보호자 없이 국가에서 입원시킨 사람들의 경우, 병원 치료를 받다 퇴원하고 나면 갈 데가 없다보니 길에 돌아다니는 신세가 된다”며, “이렇다보니 결과적으로 약을 먹을 처지가 못 된다. 이전까지 약을 먹던 사람들은 몸에 아직 잔여량이 남아 있기 때문에 3~4일 정도는 약 효과를 유지하지만, 일주일 정도 후에는 잔여량이 다 떨어져서 재발이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따라서 정신질환자들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약물관리와 관련 지원이 필요하다는 게 최 회장의 설명이다. 그러기 위해선 전문가들이 훈련을 잘 시켜야 하고, 사회복귀시설이 지금보다 더 많아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최한석 회장은 “사회복귀시설에서는 정신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약을 잘 먹어야 된다는 교육상담을 하고 있다. 또 각각 개인에게 맞는 다양한 재활프로그램을 단계별로 실시한다. 즉 이들을 사회로 복귀시키기 위해 사회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훈련을 하는 것인데, 현재 전국에는 사회복귀시설이 120개 정도다. 이 마저도 대도시에 집중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 회장은 “지방의 경우 보건소에 정신보건센터가 있긴 하지만, 이곳에서는 정신질환뿐만 아니라 자살예방, 치매, 청소년 문제 등을 다 다루기 때문에 정신질환은 일주일에 이틀 정도만 케어가 가능한 실정이라 확대가 시급하다”면서, “무엇보다 약을 자부담 없이 지원받을 수 있다면 재발 위험을 낮추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일부 환자들 중에는 약을 복용하는 스트레스 때문에 약을 안 먹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주사제 또한 지원됐으면 하는 바람이다”며 국가의 관심과 지원을 주문했다.
yes228@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