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군구 10곳 중 4곳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로 지역이 소멸할 위험에 처해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13일 한국고용정보원 고용동향브리프 7월호에 수록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지역은 2013년 75개(32.9%)에서 2018년에는 89개(39%)로 증가했다.
소멸위험지수는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 수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수로 나눈 값’이다. 가임여성인구 수가 고령자 수의 절반이 안 되는 지역은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 탓에 공동체가 붕괴돼 사라질 수 있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소멸위험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이라고 정의했다.
소멸위험 지수가 가장 낮아 소멸의 위험이 제일 높은 곳은 경북 의성(0.151)이었다. 전남 고흥(0.161), 경북 군위(0.169), 경남 합천(0.17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소멸 위험이 낮은 지역은 세종(1.59), 울산(1.23), 경기(1.18) 등으로 조사됐다.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시·군·구는 2013년 7월 기준으로 75곳이었으나 5년 만에 14곳 늘었다. 올해 소멸위험 지역에 추가된 곳은 강원 철원(0.480)과 부산 중구(0.491), 경북 경주(0.496) 및 김천(0.496) 등이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최근의 소멸위험지역은 도청 소재지, 산업도시, 광역대도시로 확산되는 양상이며, 최근 지방 제조업의 위기는 지역의 산업기반을 붕괴시키면서 지방의 인구유출을 더욱 가속화했다”고 밝혔다. 이어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물리적 인프라 중심의 혁신뿐만 아니라, 교육, 교통, 주거, 문화 등과 관련된 생활양식의 혁신이 이뤄질 수 있도록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수미 기자 mi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