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재료유통시장, 케어캠프發 충격 ‘우려’

진료재료유통시장, 케어캠프發 충격 ‘우려’

기사승인 2019-07-23 18:06:30

국내 매출규모 1위 진료재료 구매대행사(Group Purchasing Organization, GPO) 케어캠프(carecamp, 대표 조선혜)의 회사운영을 둘러싼 각종 의혹과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일각에서는 ‘위기설’까지 나도는 상황이다. 이들에게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의료기기업계와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케어캠프가 직면한 문제는 크게 3가지다. 당장 동종 경쟁업체인 D사에 근무하며 영업비밀을 취급했던 직원들을 채용한 후, 해당 직원이 빼돌린 정보로 의료기관의 진료재료 구매대행 사업자 선정입찰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했다는 정황이 포착돼 압수수색에 이어 검찰수사가 이뤄지고 있다.

기업 간 부정경쟁을 전담해 수사하는 서울지방경찰청 산업기술유출수사팀은 산업스파이 혐의가 일부 드러난 직원 2명과 불법적으로 취득한 정보를 거래에 활용한 것으로 보이는 케어캠프를 지난달 말, ‘부정경쟁방지 및 영업비밀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을 적용해 기소의견으로 서울중앙지방검찰청에 사건을 송치했다.

사건은 이뿐만이 아니다. 최근 케어캠프 소속으로 서울 소재 A 대학병원 진료재료 구매대행업무를 전담해온 직원이 특정 제품의 납품가를 부풀려 청구하는 방식으로 3년간 5억여원의 대금을 횡령한 일 또한 밝혀졌다. 이에 회사는 급히 고위간부를 병원으로 보내 병원의 피해액과 그에 상응하는 이자를 지급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하는 차원에서 사건을 수습했다.

하지만 연이어 밝혀진 일련의 사건을 두고 업계 관계자를 비롯해 병원계 관계자들은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영업·유통업계 특성상 케어캠프에 대한 신뢰가 하락하는 것은 당연한 수순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떨어진 신뢰 때문인지 횡령의 대상이 밝혀진 A 대학병원 외에도 더 있을 것이라는 의혹 또한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

◇ 흔들리는 업계 내·외 신뢰관계… 경영위기설까지 ‘솔솔’

문제는 앞서 언급한 구매대행업계 내에서의 공정경쟁에 대한 신뢰나, 공급계약을 체결한 구매자이자 소비자이기도 한 의료기관과의 신뢰가 흔들리는 상황에서 경영악화에 따른 진료재료 공급업체와의 대금지불에 대한 신뢰관계까지 위험하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 의료기기유통업계에 대한 이해가 높은 회계사들의 도움을 얻어 케어캠프와 GPO경쟁사인 이지메디컴이 공시한 재무제표를 바탕으로 성장성과 수익성, 재무안전성을 분석한 결과, 케어캠프의 재정안전성과 유동성에서 문제가 있다는 진단을 받았다.

분석결과, 매출액규모는 케어캠프가 2014년 2720억원에서 2018년 5062억원으로 5년새 2340억원가량(연평균 17%) 성장하며 업계 1위에 올랐다. 같은 기간 이지메디컴은 1103억원에서 4296억원으로 약 3190억원(연평균 31%) 증가하며 뒤를 쫒았다.

하지만 매출규모는 허울이었다. 매출액 성장에 따른 양사의 2018년도 영업이익은 대략 60억원 수준으로 비슷한 듯 보였지만, 순이익을 따지자 이지메디컴은 48억원의 흑자를 달성한 반면 케어캠프는 12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차가 70억원에 이른 셈이다.

이를 두고 재무제표를 살펴본 한 회계사는 “의료기관으로부터 받아야할 매출채권을 금융기관을 통해 매각했고, 이 과정에서 36억원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최근 부실사업에 대한 비용 등 8~9억원이었던 잡손실도 2018년 2.5배에 가까운 20억원에 이르렀다. 이들 영업외 비용이 순이익 적자 전환의 주요원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가 주목한 부분은 매출채권처분손실이다. 매출채권처분손실은 현금이 필요해 만기 이전에 받아야할 어음이나 미수금, 외상매출을 은행 등에 팔아 발생한 손실로 일명 ‘어음깡 수수료’다. 그리고 케어캠프는 지오영이 인수한 직후인 2015년 5억원에서 2016년 17억원, 2017년 19억원으로 손해규모가 늘었다. 심지어 2018년에는 규모가 36억원으로 급등했다.

더구나 매출채권은 결국 진료재료를 공급한 공급사들에게 돌려줘야할 제품대금에 수익률이 더해진 금액인 만큼 이윤을 냈다고 보기 위해서는 공급사에게서 물품을 사들인 매입대금(매입채무)보다 매출채권액이 높아야 하지만, 케어캠프의 경우 매출채권에서 매입채무의 차는 368억원이나 부족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관련 의료기기업계 관계자는 “매입채무 초과액이 2018년 368억 규모에 달해 의료기관으로 부터 받은 대금을 공급업체에게 정상적으로 지급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매입채무 회전기일 또한 152일로 늘었다”면서 “혹 다른 용도로 공급사가 받아야 할 대금이 전용된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케어캠프의 납득할 만한 해명이 필요해 보인다”고 강한 불신과 의혹을 제기했다.

이 외에도 케어캠프의 원가계정 회계처리에도 특이점들이 발견됐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 전자공시시스템에 등록한 케어캠프의 손익계산서를 살펴보면 3%대를 유지해온 상품매출이익율이 2018년 1.1%로 급감했다.

이에 대해 회계전문가는 “2017년 재무제표 감사보고서에서 제품매출 원가 중 일부인 157억원에서 83억원 가량을 2018년 감사보고서에서 상품매출원가로 조정해 반영했다. 그 결과 수년간 적자를 냈던 제품매출의 수익성이 흑자로 돌아섰다. 그럼에도 별다른 주석(설명)을 달지 않았다”면서 “기업의 대외적 신뢰를 깨뜨리는 행위”라고 설명했다.

한편, 일련의 의혹과 논란에 대해 케어캠프는 과거 적극적인 대응에 나섰던 것과 상반되게 수차례의 요구에도 일체의 설명이나 해명을 하지 않고 있다. 그저 “언론대응을 할 담당자와 부서가 없는 상태다. 경영기획팀은 해체돼 부서원이 흩어졌고, (비서실 등의) 연락처는 알려줄 수 없다”고 반복적으로 답할 뿐이었다.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oz@kukinews.com
오준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