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 현판 ‘검정 바탕, 동판 금박 글씨’로…재제작 방침 확정

광화문 현판 ‘검정 바탕, 동판 금박 글씨’로…재제작 방침 확정

기사승인 2019-08-14 17:30:37

정부가 검정색 바탕에 글자는 동판 위에 금박으로 다시 제작하고 단청안료는 전통소재 안료를 사용하는 방식의 광화문 현판 재제작 방침을 최종 확정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14일 문화재위원회(사적분과) 보고를 거쳐 광화문 현판 바탕은 검정색, 글자는 동판 위에 금박으로 재제작하고 단청안료는 전통소재 안료를 사용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광화문 현판은 2010년 목재에 틈이 생기는 ‘갈램’ 현상이 발생해 교체가 결정됐다. 문화재청은 현판 재제작을 위한 재제작위원회와 색상 관련 자문위원회 등을 구성해 모두 20차례에 걸쳐 회의를 진행해왔다. 또 관련 연구용역을 실시해 광화문 현판의 규격과 글자 크기, 현판 색상, 글자마감(동판 위 금박) 등에 대한 고증과 시공방안을 새롭게 전면 검토해왔다.

지난해 1월에는 광화문 현판 색상의 과학적인 분석 연구를 통해 광화문 현판의 원래 색상이 검은색 바탕에 금박 글자임을 밝혀내기도 했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사용할 단청 안료에 대해서는 전통소재 안료와 현대소재 안료 중 어느 방식으로 할 것인지를 정하기 위해 1개의 시범현판에 반반씩 2개의 시범단청을 나누어 칠한 후 점검을 해왔다. 

궁능유적본부는 재제작하는 광화문 현판에 사용할 단청안료 선정을 위해 국립문화재연구소(복원기술연구실) 협조로 지난해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총 10차례에 걸쳐 전통소재 안료와 현대소재 안료를 사용한 시범단청에 대한 사전점검을 실시했다.

그 결과 전통소재와 현대소재 둘 다 대부분의 색상에서 변색과 미세균열 등이 부분적으로는 발생했으나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통단청은 아교와 전통안료를 사용하여 채색한 단청이고, 현대단청은 아크릴에멀전 접착제와 화학안료를 사용하여 채색한 단청이다.

궁능유적본부는 “전통소재 안료 중 주홍색과 황색은 현대소재에 비해 변색과 탈색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전통소재 안료가 갖는 재료적인 특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주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하여 관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재제작 광화문 현판 색상과 글자마감 등 원형고증과 제작방침은 미국 스미소니언 박물관 소장 고사진(1893년경)과 지난해 발견된 일본 와세다대학교 소장 ‘경복궁 영건일기’(1902년)를 참고해 진행됐다.

‘경복궁 영건일기’에 기록된 것처럼 광화문 현판 글자 마감 재료인 동판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근래에 현판 동판을 제작해 본 경험이 있는 장인이 없는 점을 고려해 올해 4월부터 6월까지 시범제작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두석장(국가무형문화재 제64호, 가구에 덧대는 금속장식을 만드는 장인) 보유자 박문열씨가 문화재수리기능자 박갑용(도금공)씨와 함께 제작했다. 동판으로 글자를 실제 만들 수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했다. 궁능유적본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궁궐 현판에 동판을 사용해 마감한 사례는 경복궁 근정전과 덕수궁 중화전 정도에 불과하다. 

광화문 현판은 이미 각자 작업까지는 마친 상태로, 일단 올해 하반기까지 이번에 결정한 안료와 색으로 채색하는 작업을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후에는 현판 상태에 대해 지속적인 점검이 진행된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새 현판을 광화문에 내거는 공식적인 교체 예상 시기는 2020년 이후로 정확한 날짜는 광화문 현판의 상징적인 의미가 부각될 수 있는 날로 선정해 추후 발표할 계획”이라며 “앞으로 진행할 광화문 현판의 재제작 과정과 설치 과정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할 것”이라고 밝혔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