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최기창 기자 =4.7 보궐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거취가 범야권의 태풍으로 떠올랐다. 특히 윤 전 총장의 움직임에 따라 정계 개편이 현실화될 것이라는 기대 속에 범야권의 인물난도 여전하다는 분석이다.
쿠키뉴스 의뢰로 여론조사기관 한길리서치가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사흘 동안 전국 만18세 이상 유권자 1005명을 대상으로 ‘범야권 차기 대선주자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은 29.8%를 기록했다. 2위인 홍준표 전 의원(9.6%)과의 차이는 약 20%다.
여‧야 인물을 모두 합친 선호도 조사에서도 윤 총장은 29%의 지지율을 획득하는 등 24.6%를 기록한 이재명 경기도지사와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우선 사직서 제출이 범야권 내 윤 총장의 대세론을 오히려 더욱 굳건하게 만들었다는 해석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 중 50.4%가 그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가 사실상 ‘반문 정서의 대표주자’라는 것이 드러난 셈이다. 아울러 범야권 후보가 ‘지지율 1위’를 탈환했기에 야권입장에서는 정권 교체에 대한 희망을 품을 수 있게 됐다.
다만 이번 여론조사에 따르면 야권의 인물난 역시 여전한 것으로 보인다. 범야권에 적절한 대선 후보가 없다는 응답이 32.7%나 됐기 때문이다. 특히 중도층의 28.9%가 범야권에 지지하는 후보가 없다고 답했다.
특히 제1야당인 국민의힘의 고민은 더욱 심각하다. 이번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자 중 63.1%가 윤 전 총장을 야권 대표 후보로 인식했다. 윤 총장이 사퇴 이외의 거취를 아직 밝히지 않은 상황인 탓에 앞으로의 행보에 따라 지지자 이탈이 현실화될 수도 있다는 위기감이 감지된다.
게다가 최근 윤 전 총장이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나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정동영 전 의원 등과의 인연이 조명된 상황이다. 그러나 아직 국민의힘과는 뚜렷한 연결고리가 없다. 결국 보궐선거 이후 펼쳐질 대선을 위한 정계 개편 구도에서 국민의힘이 소외될 가능성이 있다는 예측이다.
현실적인 문제도 있다. 윤 총장 카드가 마냥 대선에서 승리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번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윤 총장은 상대적으로 호남(11.3%)과 강원(19.8%) 제주(11.5%) 등에서 지지도가 떨어졌다. 아울러 가장 큰 경쟁자인 민주당 소속 이낙연 전 대표나 이재명 경기도지사에 대한 호감도가 꾸준히 유지되고 있다는 것 역시 야당의 걱정거리다.
결국 윤 총장과 함께 야당의 바람을 일으킬 새 인물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이른바 ‘범야권 삼분지계’다. 특히 그동안 꾸준히 서진정책을 펼치며 밑바닥을 다져온 만큼 현재의 구도와 패러다임을 깰 수 있는 인물에 대한 영입 작업을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김동연 전 경제부총리와 장성민 세계와동북아평화포럼 이사장 등이 대항마로 꼽힌다. 김 전 부총리는 한때 문재인 정부의 경제 정책을 총괄했던 인물로 진보와 보수 모두에서 지지할 수 있는 인사로 꼽힌다.
장 이사장 역시 마찬가지다.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 정무비서관과 초대 국정상황실장을 역임하는 등 DJ 적자로 분류되는 데다 중도와 호남, 영남을 아우를 수 있는 국민 대통합 인물이라는 평가도 받는다.
한 야권 관계자는 “국민의힘에는 구도와 프레임을 깰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 단순히 4.7 보궐선거만을 바라보는 전략이 아닌 확장성을 키울 수 있는 인재 영입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조언했다.
성일종 국민의힘 의원 역시 지난 8일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윤 총장을 비롯해 김 전 부총리, 장 이사장 등이 모두 우리 당에서 경쟁할 수 있다. 국가에 대한 비전을 가지고 경쟁을 할 수 있다”며 새 인물 영입과 이들의 역할을 강조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식(유선 전화면접 20.0%, 무선 전화면접 11.0%, 무선 ARS 69.0%, 성‧연령‧지역별 할당 무작위 추출)으로 진행했다. 응답률은 4.7%,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1%p다. 통계보정은 2021년 2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보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길리서치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mobydic@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