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실적 개선에도 8개 전업 카드사의 표정이 밝지 않다. 올해 인하된 영세·중소가맹점 수수료율 적용과 금리 인상이 예상되는 영향이다. 이에 카드사들은 새로운 먹거리로 데이터, 자동차 할부 등 신사업 확장에 열중하고 있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개 전업 카드사의 지난해 순이익(IFRS 기준)은 2조7138억원으로 전년(2조264억원)보다 33.9%(6874억원) 늘었다.
소비심리 회복으로 카드 사용액이 크게 증가했다. 카드 가맹점수수료 수익은 7조7031억원을 기록하며 지난해 7조848억원보다 8.7%(6138억원) 늘어났다.
전업 카드사 8곳과 겸영 은행 카드사 11곳 전체 신용·체크카드 이용액은 지난해 960조6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83조3000억원(9.5%) 늘었다. 특히 신용카드 이용액이 705조3000억원에서 779조원으로 73조7000억원(10.4%) 급증했다.
다만 업계는 올해 실적에 비관적이다. 올해부터 인하된 영세·중소가맹점 수수료율 적용으로 4700억원의 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 카드업계 관계자는 “보복 소비로 인한 카드 사용액 증가는 일시적인 현상이다. 오히려 올해부터 수수료 인하분이 적용되면서 실적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신용판매 적자를 메웠던 대출 수익 증가도 불투명하다. 지난해 카드대출 이용액은 107조2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0.1%(1000억원) 증가했다. 카드론(장기 카드대출) 이용액(52조1000억원)은 전년과 비교해 1.7% 감소했지만 현금 서비스(단기 카드대출) 이용액(55조1000억원)이 1.8% 늘어나 신용판매 적자를 보전했다.
또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금리 인상으로 조달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어 부담이다”라면서 “대출 규제 또한 이번 정권에서 풀어주겠다고는 했으나 아직 아무런 얘기가 없다. 아직은 DSR 규제에 카드론이 포함돼 대출 이익도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카드 업계는 수익 다각화 차원에서 미래 먹거리에 집중하고 있다. 할부와 리스·렌트 등 자동차 금융과 데이터 전문사업 등 신사업에 몰두하고 있다.
신한, 삼성, BC는 지난달 금융위원회에 데이터 전문기관 허가 신청서를 냈다. 데이터 전문기관이 되면 신용정보법에 따라 금융·비금융 데이터를 가명 처리한 뒤 결합할 수 있는 권한을 정부로부터 부여받는다. 현재 금융보안원, 신용정보원, 국세청, 금융결제원 등 공공부문에만 허용됐다.
이들 카드사는 마이데이터(본인신용정보관리업)로 데이터 결합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있다. 마이데이터 서비스는 소비자의 각종 금융정보를 한데 모아 맞춤형 자산 관리, 상품 추천 등을 해 주는 것을 말한다. 금융과 비금융 데이터를 결합하면 데이터 활용도가 크게 높아진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데이터 거래 납품 건수나 AI마케터 등 그간 데이터 역량을 계속 쌓아오고 있었다. 그러다 보니 신사업 중 역량이 데이터 부문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는 자동차 할부금융도 주목하고 있다. 금감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자동차 할부금융을 영위하는 신한, 국민, 우리, 하나, 삼성카드 5개 카드사의 국내 자동차 할부금융(리스 미포함) 자산은 지난해 말 9조7345억원으로 전년(8조7788억원) 대비 10.8%(9557억원) 늘었다.
현재 신한, 국민, 삼성카드는 신차와 중고차 금융을 동시에 하고 있다. 우리, 하나, 롯데카드는 신차만 취급한다.
우리카드는 지난해 기존 캐피탈부서를 오토금융본부로 격상했다. 올해 초 오토신사업팀을 신설하는 등 자동차 금융에 인력과 자원을 집중하고 있다. 자동차 전문 영업점인 캐피탈 지점 수도 서울·경기(5곳), 부산(2곳) 등 전국에서 총 20개로 확대했다.
하나카드는 지난해 처음으로 자동차 할부금융을 시작했다. 첫해 관련 자산이 3657억원에 달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하나카드 관계자는 “사업 초기라 당분간 신차 시장에 집중할 계획이다”라면서 “중고차 시장 진출은 시간이 조금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손희정 기자 sonhj1220@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