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3년, 일상된 소독…“안전한 화학물질 없다” 

코로나 3년, 일상된 소독…“안전한 화학물질 없다”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직업환경의학과 이준희 교수 인터뷰

기사승인 2022-10-20 06:00:02
사진=쿠키뉴스 DB

코로나19 이후 소독제는 우리 사회 일상용품이 됐다. 약국이나 마트, 온라인 쇼핑몰에서 마주하는 생활소독제는 그 수를 다 셀 수 없을 만큼 너무나 많아졌고 개인 또는 집단의 소독제의 사용빈도 또한 크게 늘었다. 하지만 소독제도 결국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화학제품이다. 소독제 내 성분이 인체에 무해했던 적은 결코 없었다. 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단지 지난 3년간 사회는 코로나 바이러스에 무너지지 않기 위해 그 위험성보다 유용성을 더 크게 봤을 뿐이다. 소독제 사용이 만연해져 그 위험성에 대해 무뎌진 현시점, 쿠키뉴스가 이준희 교수(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직업환경의학과)를 만나 소독제의 위험성에 대해 다시 한 번 살펴봤다.

Q. 직업환경의학과에서는 어떤 진료가 이뤄지는지 설명 부탁드린다.

A. 쉽게 말해 직업병 또는 직업 환경에 관련된 질환들을 예방하고 관리하는 과라고 보면 된다. 사람들이 일을 하다보면 여러 유해 요인에 노출된다. 화학 물질이나 환경적 위해요인, 정신건강까지 다각적으로 살펴서 일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들을 건강하게 관리하고 보호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Q.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소독제에도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이 들어있나?

A. 우선 안전한 화학물질은 없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다. 소독제도 결국 화학물질이다. 소독제 안에 들어있는 성분들은 염소 화합물, 알코올, 4급암모늄 화합물, 과산화물, 페놀 화합물 등으로 분류된다. 현재 WHO, 유럽연합 등에서는 살균·소독제로 권고하는 해당 성분들의 유효농도를 정해 놓고 있다.

문제는 흡입 가능성이다. 소독제를 사용할 때 화학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인체에 흡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급암모늄 화합물에 벤잘코늄염화물이라는 물질이 있다. 자극이 없어 굉장히 오랜 시간 사용되어 오고 있으며 어린이용품에까지 광범위하게 쓰이는 화학물질이다. 같은 맥락에서 벌어진 사건 중 가습기 사고가 있다. 살균 역할을 하겠다고 들어있는 물질들 중 흡입해도 괜찮은 물질은 없다.

이준희 교수. 사진=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Q. 향후 어떤 증상을 유발할 수 있나?

A. 몇 년 후 어떤 증상이 생길지는 알 수 없다. 현재 급성 폐 손상과 같은 급성 손상 보고만 있을 뿐이다.무엇보다 모든 물질에 대해 흡입 시 벌어질 수 있는 증상에 대해 알 수가 없다. 보통 1년에 개발되는 물질들 중 상업화되는 게 수천가지, 버려지는 게 수만가지라고 한다. 흡입 시 독성을 일일이 테스트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상업화되기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임상시험센터 등에서 복잡한 허가과정을 거친다. 상용화된 제품에 한해서는 정확한 사용법을 따른다면 크게 걱정할 문제는 아니다.

Q. 결국 정확하고 올바른 사용방법이 중요한 것 같다.

A. 그렇다. 살균도 중요하지만 제품에 쓰여 있는 사용법과 주의사항을 적어도 한 번쯤은 정확히 읽을 필요가 있다. 또 자체 제조는 지양해야 한다. 최근 락스와 세제를 혼합해 작업을 하던 조리사가 청소 중 돌연사를 한 사고가 있었다. 두 물질을 섞어 사용하면 더 강력해질 것이라고 판단해서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두 화학물질이 만날 경우 고농도의 화학물질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사고는 처음이 아니다. 외국에서도 있었고 과거에도 계속 있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소독제는 그 사용법에 대해 정확히 살펴봐야 한다.

Q. 정부나 기업의 역할이 있다면?

A. 직업환경의학과에서 제가 하는 일이 결국 문제가 생기기 전에 잔소리하는 것이다. 전문적인 잔소리꾼이랄까? 현장에서 사람들을 만나보면 제일 많이 하는 소리가 이 상태로 수년째 일을 하고 있는데 멀쩡하다는 얘기다. 직업적으로 그분들을 설득하는 과정이 가장 어렵다.

그래서 우리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언제나 열린 눈으로 감시해야 한다. 감시가 약해지면 구멍이 날 수 있다. 사회가 선진화되고 소비자 입장에서 여러 물질에 대한 선택권이 넓어질수록 정부나 기업에서는 물질들의 위해성에 대해 홍보하고 조심히 사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이미 사용 중인 제품이라 하더라도 말이다. 나아가 국민 모두가 사회적 경각심을 가지고 화학물질의 위험성을 알리고 서로 경고해줄 수 있는 시각을 키울 필요가 있다.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안세진 기자
asj0525@kukinews.com
안세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