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2024학년도 대입에서는 반영되는 학생부 항목이 축소되고 자기소개서도 폐지되기 때문에 평가에 반영되는 항목들의 기록이 더욱 중요한 상황. 때문에 지금까지 기록된 학생부를 면밀히 살펴보면서 현재의 상황을 점검하고 남은 학기를 계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밖에 없다. 다음의 과정에 따라 본인의 학생부를 점검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자.
학생부 점검, 어떻게 하나?
1) 1단계 : 의미 있는 내용 선별하기
자신의 학생부를 꼼꼼히 읽으며 항목별로 의미 있는 내용들을 선별해보자. 조금 어렵겠지만 ‘의미 있는’ 내용을 찾는 게 중요하다. 모든 학생들에게 공통으로 쓰인 듯한 내용의 활동으로는 그 학생 고유의 특징을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화학 관련 진로를 희망하는 학생이 과학실험 동아리활동을 수행했고 다음과 같은 내용이 학생부에 기재되었다고 하자.
위 기록은 동아리원 누구에게나 쓰일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차별화되지 못한다. 단지 관련 동아리활동 경험을 통해 ‘관심이 있다’ 정도만 확인될 뿐, 해당 실험에서 어떤 구체적인 활동을 했고, 그것을 통해 어떤 성장을 이루었는지는 알 수 없다. 첫 문장에 쓰인 ‘과학적 탐구역량과 의사소통능력’을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찾기 어렵다.
학생부에 적힌 내용이 너무 많거나, 진로와 관련되었다는 이유만으로 자신의 학생부가 우수하다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 단순한 활동의 나열이 아닌, 자신만의 스토리를 보여줄 수 있는 내용이 충분한지 면밀히 검토하여 좋은 활동들을 선별하도록 하자.
2) 2단계 : 학종 평가요소에 따라 범주화하기
학생부를 검토하며 비교적 의미있는 활동들을 추렸다면 이젠 이 활동들을 ‘학업태도 및 탐구력을 보여주는 활동’, ‘진로(계열) 탐색과 관련된 활동’, ‘공동체역량을 보여주는 활동’ 등으로 범주화하여 구분해 보자. 어떤 활동은 학업역량과 진로역량을 동시에 보여줄 수도 있다. 그런 경우 두 개의 카테고리에 모두 포함시키면 된다.
범주화하는 이유는 그간의 활동들이 적절한지, 부족한 부분은 없는지 점검하기 위해서이다. 대학에 따라 학생부를 평가하는 요소와 항목이 다르지만 대체로는 학업역량, 진로역량, 공동체역량을 중심으로 평가하게 된다. 때문에 각 요소에 맞춰 자신의 학생부 경쟁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하여 목표 대학 및 전형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 때 가능하면 학교 선생님을 통해 학생부에 대한 진단을 받아볼 것을 권한다.
3) 3단계 : 3학년 활동 계획하기
자신의 학생부가 다소 미흡하다고 판단되면 마지막 학기인 3학년 1학기에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 진로와 관련된 활동은 많지만 단지 참여한 정도로만 기재되어 있거나, 수업시간에 성실히 임하긴 했지만 지적호기심이나 주도적인 학습태도를 보인 경험이 부족할 수 있다. 탐구활동에 대한 기록은 있으나 대부분 단편적인 조사에 그쳐 학업역량이 잘 드러나지 않은 경우, 남은 기간에 이를 보충하는 것이 좋다. 새로운 무언가를 계획하기보다는, 지금까지의 활동 중 심화할 수 있는 내용을 정해 3학년 때 이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목표로 하는 대학이 구체적이라면 해당 대학의 전형 특성이나 인재상에 맞추어 본 후, 부족한 요소를 파악하여 계획해 보자. 여기에 내신성적 관리는 필수이므로 마지막 학기의 내신을 끌어올릴 수 있는 학습계획도 필요하다.
곧 있을 3학년 1학기의 활동은 1~2학년 때 했던 의미 있는 활동들의 연장선이라고 보면 된다. 그러므로 학종을 준비하는 예비 고3들에게 지금 자신의 학생부를 점검하는 것이 급선무고, 마지막 학기를 효과적으로 보내기 위한 필수 코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