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의 뉴스 알고리즘을 두고 정부가 실태조사에 착수했다. 실시간 검색어(실검) 논란에 이어 정치권이 또다시 포털 관련 ‘길들이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방송통신위원회는 2일 네이버 뉴스 검색 알고리즘 인위적 개입 보도와 관련해 전기통신사업법상 금지행위 위반 여부 등에 대한 실태 점검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앞서 한 언론은 네이버가 뉴스 알고리즘에 ‘언론사 인기도’ 지표를 인위적으로 적용, 특정 언론사가 부각되거나 불리하게 했다는 보도를 내놨다.
전기통신사업법 제50조 등에서는 전기통신서비스를 이용해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자에게 불합리하거나 차별적인 조건·제한을 부당하게 부과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방통위는 네이버가 해당 규정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점검할 방침이다.
네이버는 특정 뉴스 노출을 위한 인위적인 조작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문제가 된 언론사 인기도는 뉴스 검색 알고리즘 20여개 요소 중 하나일 뿐이라는 것이다. 네이버는 지난 2018년부터 뉴스 알고리즘 구성의 적절성·합리성 등을 검토받기 위해 ‘알고리즘 검토위원회’의 자문을 받아왔다. 언론사 인기도는 위원회의 자문을 받아 도입됐다. 이후 A일보, A닷컴, A매거진 등 A 언론사 계열의 매체가 모두 같은 인기도 값을 갖게 되자 정확한 검색 결과를 위해 ‘언론사 피인용지수’를 결합했다는 설명이다.
네이버는 관계자는 “네이버는 조사에 성실히 임하고, 오해가 있는 부분은 적극적으로 소명하겠다”고 강조했다.
다만 정치권에서는 알고리즘이 아닌 극단 팬덤을 유인하기 위한 ‘갈고리즘’이라는 신조어를 내놓으며 집중포화에 나섰다. 박대출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SNS를 통해 “포털뉴스 알고리즘 관련 불공정 논란을 해소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며 “알고리즘은 국민을 진영에 가두고 극단화시키는 폐단을 더 키우고 있다. 불법이 있었다면 예외 없이 단죄해야 한다”고 이야기했다.
네이버와 다음 등 포털 사이트가 뉴스를 소비하는 창구가 되며 뉴스 편집 관련 논란은 지속돼 왔다. 포털 상단에 편집된 뉴스가 특정 정당에 편향적이라는 주장이다. 네이버와 다음 뉴스 배치에 따라 여론이 달라질 수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이에 포털은 뉴스 편집을 사람이 아닌 ‘알고리즘’의 판단에 맡기기로 했다. 한 발 더 나아가 알고리즘에 인위적 개입이 없다는 점을 강조해왔다. 네이버는 알고리즘 검토위원회의 검증을 받고 있으며 지난 2021년에는 알고리즘 설계 및 작동 원리에 대해 공개했다. 카카오도 지난달 다음뉴스 배열에 담긴 알고리즘 기술과 정책을 자사 매거진을 통해 발표했다.
비슷한 논란은 또 있다. 양대 포털의 새로운 콘텐츠 추천 서비스 도입을 두고 지난 5월 실검이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네이버의 트렌드 토픽과 카카오의 투데이 버블 등이다. 앞서 실검은 특정 여론 형성에 쓰일 수 있다는 부작용으로 인해 다음에서는 지난 2020년, 네이버에서는 2021년 폐지됐다. 이른바 ‘조국 사태’를 두고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지지하거나 비판하는 메시지가 실검에 올랐던 것이 한 예다.
양사는 새로운 서비스가 실검과 다르다고 해명했으나 네이버는 결국 백기를 들었다. 네이버는 트렌드 토픽에 대한 도입을 보류했다. 카카오는 “투데이 버블은 다음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 웹페이지에서 정보를 얻어온다”며 “분석 기준이 되는 시간을 수일간으로 늘려 키워드를 순위화하지 않기에 의도적으로 검색량을 증가시키는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