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다가 ‘가위 눌려’ 귀신을 봤다는 경험담이 나오곤 한다. 이런 일을 한 번 겪고 나면 쉽게 잠을 청하기 어려워진다.
가위 눌리는 것을 의학적으로 ‘수면마비’라고 부른다. 수면마비 상태에서는 왜 헛것이 보이는 걸까. 혹시 몸에 어떤 이상이 있는 건 아닐까.
최윤호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신경과 교수와 황경진 경희대병원 신경과 교수에게 물어봤다.
Q. 가위 눌리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최윤호 교수= 잘못된 수면환경과 자세, 강한 시청각적 자극, 수면부족, 불규칙한 수면, 수면무호흡증, 심한 스트레스, 과도한 음주 등 다양한 요인들이 우리의 수면과 이어져 있습니다.
밤에 충분히 잠을 자더라도 뇌의 각성 물질이 결핍되면 낮 동안 졸리는 경향이 심할 수 있고, 렘수면 조절장애가 특징인 ‘기면병’, 그리고 유전적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가족형 수면마비’도 원인일 수 있습니다.
황경진 교수= 꿈을 꾸는 수면을 ‘렘수면’(REM sleep)이라고 해요. 렘수면 상태에서 몸을 움직이지 않도록 뇌에서 척수로 신호를 보내 운동 능력을 억제시키는데 이 상태가 깨져서 발생하는 게 가위, 즉 ‘수면마비’입니다.
Q. 가위 눌리면 왜 귀신 같은 헛것을 보거나 몸을 움직이지도, 소리를 듣지도 못하는 건가요?
최윤호 교수= 수면은 크게 렘수면과 ‘비렘수면’(NREM sleep)으로 분류됩니다. 90~110분 주기로 비렘수면과 렘수면이 반복돼요. 밤 수면 중 전반부에는 비렘수면, 후반부에는 렘수면이 많습니다. 렘수면은 꿈을 꾸는 단계인데요. 뇌는 깨어있는 것처럼 활성화되지만 호흡과 눈 근육 외 모든 근육은 마비돼 있는 상태입니다. 수면마비는 바로 이 단계에서 갑자기 깨어날 때 발생합니다. 뇌는 깨어나고 있지만, 아직 마비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인 것이죠.
마비되는 체험 자체가 일정 부분 공포심을 자극하며, 눈을 뜨면 앞에 뭔가 있을 것 같은 두려움에 대한 무의식이 형상화돼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다른 누군가가 나를 붙잡거나 누르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특히 호흡 관련 근육 중 횡격막은 정상적으로 움직이지만, 심호흡을 할 때 사용되는 부호흡근은 다른 골격근과 마찬가지로 마비돼 가슴이 답답하다거나 목이 졸리는 듯한 느낌을 유발하고 강화시킵니다.
황경진 교수= 머리는 깨어있지만 몸은 렘수면 상태라 움직이질 못하니까 감정적으로 유쾌하지 못한 상황에서 불안한 감정이 증폭되고, 내면의 감정이 복잡해져 방 안에 있는 사물을 잘못 인지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어요.
Q. 가위 눌리지 않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최윤호 교수= 수면마비는 똑바로 누운 자세 또는 불편한 자세에서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손이나 물건 등이 몸 위에 올려져있는 경우 더 흔하게 나타날 수 있어요. 잠들기 전 강한 시청각적 자극이나 스트레스도 꿈과 환각에 영향을 줄 수 있어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황경진 교수= 스트레스를 줄이는 게 가장 중요하고, 또 잠에서 안 깨려면 수면의 질이 좋아야 해요. 같은 시간에 자서 같은 시간에 일어나고, 자기 전 핸드폰이나 TV 시청을 하지 않고, 빛 자극을 최소화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자기 전에 찬물로 샤워하는 것도 피하는 게 좋습니다. 천장을 보고 똑바로 누워서 잘 때 수면마비가 더 잘 생긴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Q. 눌린 가위를 풀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최윤호 교수= 수면마비가 꿈꾸는 수면 중 일시적으로 나타난 현상이라는 것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두려움을 갖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마비에서 풀리기 시작할 땐 보통 손가락, 발가락 등 몸의 말단 부위부터 회복돼요. 손가락이나 발가락부터 조금씩 움직이는 시도를 하다 보면 짓눌리는 느낌과 호흡곤란 등이 줄어들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됩니다.
황경진 교수= 가위 눌렸다면서 진료를 보러 오는 환자들한테는 정상 수면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일이라고 안심부터 시켜요. 귀신이 정말 있는 게 아니라, 스트레스 등 일상적인 상황들로 인해 가위 눌리는 것이라고 인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사람마다 조금씩 다를 수는 있지만, 누가 만져주거나 말을 시키는 등 감각적인 자극이 있으면 조금 더 빨리 깰 수 있습니다.
Q. 시도 때도 없이 가위 눌린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최윤호 교수= 수면마비는 전체 인구의 40~50%까지 경험할 수 있는 흔한 증상이나, 반복적인 경우라면 우선 수면 관련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기상시간과 취침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수면에 방해되는 카페인이나 음주, 흡연을 피하고 수면제 등 약물을 적절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이완운동 등을 이어가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면마비가 반복된다면 수면무호흡증, 하지불안증 등 수면의 질을 방해하는 수면장애 감별이 필요하고, 기면병과 가족성 수면마비에 대한 진료가 필요합니다.
Q. 수면마비와 관련해 덧붙이고 싶은 조언이 있다면.
최윤호 교수= 수면마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고 증상에 대한 두려움을 덜 수 있길 바랍니다. 더불어 수면장애는 여러 가지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만큼 가볍게 여겨선 안 됩니다. 필요하다면 수면 전문의 진료와 적절한 치료를 받길 권합니다.
황경진 교수= 규칙적으로 생활하는 게 좋아요. 수면마비가 계속된다면 스스로 스트레스가 많은지 살펴야 하고, 낮에 자꾸 졸음이 밀려오는 경우 기면증이 수면마비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병원을 찾아 검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랬구나. 가위 눌리는 건 귀신 때문이 아니라 내게 얽혀있는 잘못된 수면환경, 스트레스, 부족한 잠 등이 원인이었구나. 하나씩 개선하면 끔찍한 기억의 가위 눌림을 다시 겪지 않을 수 있다. 수면마비는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흔한 증상이라고 하니 걱정할 필요는 없지만, 반복된다면 꼭 전문의의 도움을 받아야겠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