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국제 재보험사 스위스리(Swiss Re) 연례 중간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1~6월) 자연재해로 인한 전 세계 총보험금 손실은 약 500억달러(65조7000억원) 규모다. 지난 2011년 이후 두 번째로 높은 수치다. 특히 올해 상반기 미국에서 번개, 우박, 급격한 온도 변화를 동반한 뇌우가 전세계 자연재해 보험 손실 약 70%를 차지했다고 보고서는 전했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지난 14일(현지시간) 보험업계에서 최근 몇년 새 ‘2차 위험’으로 분류되는 재난의 보험 손실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보험업계에서는 지진, 허리케인 등 빈도는 낮지만 발생할 경우 피해 규모가 막대한 천재지변을 1차 위험으로, 홍수·산불·폭풍우·산사태 등 발생 빈도가 높은 재난을 2차 위험으로 분류하고 있다.
한국 상황도 다르지 않다. 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회 위원인 장혜영 국회의원(정의당)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태풍·홍수·호우·강풍·대설·한파 등 자연재해로 인해 국내 보험사들이 지난해 지급한 금액은 1조 2556억원, 지급건수는 39만 6315건이었다. 5년 전인 2017년 지급액 3947억원의 3배가 넘는 수준이다.
지급금 폭증으로 보험사가 파산하거나, 신규 가입을 받지 않는 경우도 생기고 있다. 미국 보험사 스테이트·올스테이트·AIG·Chubb는 기후변화 리스크 확대 및 캘리포니아 산불로 인한 보험 손실 증가로 주택보험의 신계약 체결을 중단했다. 루이지애나 주에서는 허리케인 피해로 12개 보험사는 결국 파산했다.
때문에 보험사의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가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6월 ‘한국 보험 업계와 기후 대응’을 주제로 한 세미나를 개최해 “보험업계는 기후위기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산업”이라며 “자연재해가 빈번해질수록 보험금 청구로 인한 손실이 확대되고 보험사가 투자한 기업이 글로벌 시장의 탄소규제 기준을 맞추지 못해 손실을 입게 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보험사들은 기후위기 대응에 손 놓고 있어서는 안된다”며 “보험인수 전략에 기후리스크를 반영해 보험사의 재정건정성을 제고하는 한편 보험산업에 구체적인 기후리스크 관리와 ESG 평가 기준을 마련하는 등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