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8일 ‘민간소비 회복 모멘텀에 대한 평가’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은 보고서에 따르면 민간소비는 지난해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이후 회복 흐름을 보였지만, 올해 2분기 들어 전기 대비 0.1% 감소하고, 7월에도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판매지수와 서비스업생산지수, 7월 신용카드 등 고빈도 자료를 이용해 개략적으로 추정한 결과, 4~7월중 민간소비는 1~3월 대비 0.5% 내외 감소한 것으로 시산됐다.
지난해 거리두기 해제 이후 나타났던 보복 소비가 둔화된 것 외에 날씨 등 일시적 요인이 크게 작용했다고 한은은 분석이다. 1분기 중 평균 기온이 예년보다 높아 봄철 의류 선구매가 증가했는데 이는 2분기 이후 의복 등 준내구재 감소로 이어졌다. 7월에는 평균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비가 내리면서 의복, 음식·숙박, 레저, 여행 등 대외 활동 관련 품목의 소비가 위축됐다.
한은은 향후 민간소비는 날씨 등 일시적 요인이 사라지면서 회복 흐름을 재개할 것으로 보면서도 높은 가계대출, 대외 여건 불확실성 등이 각 소비를 제약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고금리로 높아진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부담은 소비여력을 제약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은은 “민간소비는 양호한 고용 여건과 축적된 초과저축 등으로 소비여력이 뒷받침되고 있어 회복 흐름을 지속할 것”이라면서도 “가계부채 수준이 높은 가운데 고금리가 지속되면서 원리금 상환부담이 늘고 있는데 다, 대외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아 회복 모멘텀은 완만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서민층 부담은 더 커질 전망이다. 기상 악화로 농산물 가격이 오르는 데다가 다음달 추석 명절을 앞두고 식료품 물가가 더 가파르게 상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국내외 식료품물가(food inflation) 흐름 평가 및 리스크 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국내에서 집중호우와 폭염, 태풍 등 기상여건 악화로 채소·과일 등 농산물 가격이 전덜 대비 빠르게 상승하고 있다. 여기에 흑해곡물협정 중단, 인도의 쌀 등 일부 국가의 식량수출 제한 등이 겹치면서 식료품 물가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은은 향후 우리 물가에 흑해 곡물협정 중단과 인도의 쌀 수출 중단에 따른 식량안보 우려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엘니뇨와 이상기후 등은 국제식량가격의 가장 큰 상방 리스크로 지목했다.
보고서는 “식료품과 외식물가는 하방경직성과 지속성이 높고 체감물가와의 연관성도 높아 기대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면서 “향후 국내 물가 둔화 흐름을 더디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계지출 중 식료품 비중이 높은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가계부담이 증대하고 실질구매력이 축소될 수 있는 만큼 후 식료품물가의 흐름과 영향을 면밀히 점검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