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의 가계부채가 10조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주택 시장의 회복으로 인해 주택담보대출이 큰 폭으로 늘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10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2023년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권의 가계대출 잔액은 1년 전보다 10조1000억원(0.6%) 증가했다.
금융권 가계대출은 2019년 56조2000억원 늘어난 뒤 2020년 112조3000억원, 2021년 107조5000억원 증가하며 정점을 기록했다. 이후 2022년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시작되면서 8조8000억원 늘어나며 증가세가 한 풀 꺾였다.
2023년의 경우 침체됐던 부동산시장이 다시 살아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45조1000억원 늘어 가계대출 증가세를 이끌었다. 2022년 주담대 증가액(27조원)의 두 배 수준이다. 다만 신용대출 및 비주택 담보대출 등 기타대출은 35조원 감소했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이 37조1000억원 늘었다. 은행권 가계대출 중 주담대가 전년 대비 51조6000억원 증가했는데, 이중 버팀목·디딤돌대출 등 주택도시기금과 정책모기지인 특례보금자리론이 55조8000억원 늘었다.
은행에서 자체적으로 내준 대출은 4조2000억원 줄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은행이 자체 대출 상품을 통해 판 주담대는 16조8000억원, 집단대출은 3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반면 전세대출은 24조8000억원 감소했다.
최근 전셋값이 하락해 보증금 일부를 되돌려받은 세입자들이 이자 부담을 덜기 위해 대출을 갚는 것으로 분석된다. 기타대출은 14조5000억원 감소했다.
2금융권 가계대출은 같은기간 27조원 줄었다 보험업권은 2금융 중 유일하게 2조8000억원 증가한 반면 △상호금융(-27조6000억원) △저축은행(-1조3000억원) △여전사(-9000억원)는 각각 감소세를 보였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난해 가계대출이 주택시장 회복 등으로 증가 전환했으나 대부분 실수요자 위주의 정책자금 대출 위주로 증가했다”며 “증가폭도 예년 대비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설명다.
이어 “다만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인 만큼 올해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의 단계적 도입 등을 차질 없이 이행해 차주(돈 빌린 사람)의 채무상환능력에 기반한 대출 취급 관행이 정착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동운 기자 chobits3095@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