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2일 (토)
싼게 비지떡…지나치게 높은 LCC 취소 수수료

싼게 비지떡…지나치게 높은 LCC 취소 수수료

기사승인 2017-12-14 05:00:00 업데이트 2017-12-21 09:58:17

#구모(31·여)씨는 국내 LCC(저비용) 티웨이 항공사 홈페이지에서 인천~일본 사가행 항공권 2매를 28만5200원에 샀다. 개인사정으로 출발일로부터 14일 남은 시점에 항공권 구매 취소를 요청했다.

항공사는 항공권 구매 금액의 약 60%인 16만원을 환불 수수료로 부과했다. 구씨는 환불수수료가 왜 많이 나왔는지 문의하려고 고객센터에 전화 했지만 받지 않아 어쩔 수 없이 수수료를 지불하고 차액만 돌려받았다.

비교적 저렴한 운임료와 노선 다양화를 앞세운 저비용항공사가 운영 12년만에 빠르게 국내외 시장을 장악했다. 특히 LCC항공사들은 일반 항공권 이외에도 특가항공권, 얼리버드항공권 등 프로모션 항공권을 내놓고 있다.

이런 특가 항공권의 경우 정상 예매한 일반항공권보다 변경 조건이 까다롭다. 가수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일정변경이나 취소에 따른 비용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문제는 환불수수료가 지나치게 높다는 점이다. 지난 4월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 10년간(2007~2016년) 접수된 항공여객서비스 관련 피해구제 신청은 총 4477건이다.

이 중 저비용항공사가 637건(56.9%)으로 대형항공사 482건(43.1%)보다 많았다. 피해유형별로는 항공권 구매 취소 시 과다한 수수료를 부과하거나 환불을 지연하는 등 ‘환불’ 관련 피해가 602건(53.8%)으로 가장 많았다. 환불 분쟁은 저비용항공사(396건,65.8%)가 대형항공사(206건,34.2%)보다 많았다.

이미 지난해 9월 공정거래위원회가 국내 항공사들의 예약취소 수수료 관행에 제동을 걸고 약관 수정을 요구했다. 취소일로부터 출발일까지의 기간에 상관없이 동일한 금액으로 부과하던 국내 7개 항공사의 국제선 항공권 환불수수료를 91일 이전에는 100% 환불, 나머지는 취소시기에 따라 차등화하게 했다. 하지만 업체들의 자진시정 방식이기에 여전히 불합리한 관행은 유지되고 있는 것이다.

실제 한 항공사는 취소 시점에 따라 적게는 운임의 6%에서 많게는 22%(할인운임 기준)까지 받겠다고 밝혔지만, 현재 일본 오사카행 할인항공권에 적용되는 취소 수수료를 운임 대비 환산할 경우 10~30%에 달한다. 진에어는 일본행 특가항공권은 일률적으로 7만원을 적용한다. 이스타항공은 공항시설사용료, 유류할증료만 환불해준다. 외국 항공사의 경우도 출발일로부터 91일 이전에 예매를 취소해도 수수료를 부과한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최근 얼리버드나 땡처리 등 할인항공권이 많이 판매되고 있으나 항공권 운임이 저렴할수록 환불수수료가 높게 책정되는 경우가 많다”며 “구매 전 환불조건을 꼼꼼히 확인하고 추가요금이 발생하지 않도록 결제 전 예약내용을 한 번 더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종혜 기자 hey333@kukinews.com

이종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나경원 “이번 대선은 체제전쟁…이재명 꺾을 것”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위험한 이재명을 꺾고 승리의 역사를 만들겠다"며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나 의원은 11일 오후 2시쯤 국회 본청 계단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이어서 그는 "무너져가는 대한민국을 바로 세우고 진정한 국민 승리의 시대를 열겠다"고 덧붙였다. 나 의원은 이번 대통령 선거를 '체제 전쟁'에 비유하며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낼 것이냐, 아니면 반자유·반헌법 세력에게 대한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