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노조 설립…업계·노동계, 반응 엇갈려

포스코 노조 설립…업계·노동계, 반응 엇갈려

기사승인 2018-09-19 01:00:00

지난 50년간 사실상 무노조 기업으로 평가받던 포스코에 노동조합이 설립됐으나 업계와 노동계의 반응은 엇갈리고 있다.

금속노조는 17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전국민주노동총연맹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 출범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의 군사적 기업문화를 쇄신하고 노동자 권익을 강화하겠다”면서 금속노조 산하 포스코지회를 출범했다.

1968년 포스코가 포항종합제철로 출발한 이후 민주노총 산하 노조가 생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포스코에는 ‘노경협의회’와 별도로 조합원 9명이 가입된 기업노조인 ‘포스코 노조’가 있다. 

포스코 노조는 1988년 꾸려져 2만4000여명 규모로 성장했지만, 노조 간부의 비리 등으로 1993년부터 노조원이 대거 이탈했다. 결국 현재 10여명에 불과한 조직으로 약화됐다.

포스코 노조가 쇠락해 노동자를 대변하는 역할을 하지 못하자 1997년 포스코 노경협의회가 출범했다. 노경협의회는 노조를 대신해 임금협상, 복리후생, 근로조건 등을 사측과 협의하며 사실상 노조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중간관리자급 위주로 편성된 노경협의회의 특성상 현장 노동자들을 대변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이에 금속노조 산하 포스코지회가 출범했으나 여전히 잡음은 끊이지 않고 있다.

노동계에서는 노동자 권리 강화를 위해 노조설립을 하는 것은 긍정적이라며 반기는 분위기다. 

한 노동계 관계자는 “포스코 노조가 노동자 입장을 충분히 반영했다면 강경하다고 불리는 금속노조 산하 노조가 생겼겠느냐”면서 “노동자 권리 강화를 위해 노조가 생기는 것은 반길 일”이라고 주장했다.

관련 업계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철강 업계 관계자는 “노조는 법적으로 허용된 활동이니 지적할 것은 없다”면서도 “다만 다른 제조업과 달리 철강업은 파업으로 용광로가 멈추면 최대 1개월이 넘는 재가동 과정이 걸린다. 해당 고로를 사용하지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 역시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는 출범식을 정의당과 함께 진행했다”며 “정치권과 연루됐다는 점에서 노조 가입을 꺼리는 직원도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임중권 기자 im9181@kukinews.com

임중권 기자
im9181@kukinews.com
임중권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