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 위축…거래량 73% 감소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 위축…거래량 73% 감소

기사승인 2025-07-21 11:21:24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쿠키뉴스 자료사진

6.27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이 빠르게 위축된 것으로 조사됐다. 거래량 감소는 물론 거래되는 아파트의 가격과 면적도 줄었다.

21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10일부터 이달 15일까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책 발표 전(6월10일~27일)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은 2만474건이었다. 발표 후(6월28일~7월15일) 거래량은 5529건으로 약 73% 감소했다. 수도권 아파트 중위 거래가격은 6억6000만원에서 5억원으로 1억6000만원 줄었다. 중위 전용면적은 84㎡에서 75㎡로 9㎡ 감소했다.

지역별로 서울의 거래 위축이 두드러졌다. 대책 발표 전 거래량은 7150건이었으나 대책 발표 후 1361건으로 줄었다. 중위 거래가격은 10억9000만원에서 8억7000만원으로 약 2억2000만원 감소했다. 거래된 전용면적도 84㎡에서 78㎡로 하락했다.

강남권에서는 대출 규제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되며 고가‧대형 평형의 거래가 크게 위축됐다. 강남구는 대책 발표 전 거래량이 301건에서 대책 발표 후 67건으로 감소했다. 중위 거래가격은 29억원에서 26억원으로 3억원 낮아졌다. 중위 전용면적은 85㎡에서 76㎡로 줄었다.

서초구의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134건이었으나 대책 발표 후 13건으로 감소했다. 중위 거래가격은 23억7500만원에서 19억6500만원으로 하락했다. 중위 전용면적은 85㎡를 유지했다.

송파구의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339건이었으나 대책 발표 후 118건으로 줄었다. 중위 거래가격은 16억5000만원이었으나 16억2000만원으로 3000만원 감소했다. 중위 전용면적은 85㎡를 유지했다.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역시 거래가 위축되는 모습을 보였다. 마포구의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428건이었으나 발표 후 41건으로 감소했다. 용산구(72건→23건), 성동구(505건→38건)으로 줄었다. 마포구의 중위 거래가격은 15억2750만원에서 12억2000만원으로 감소했다. 용산구(18억500만원→15억4000만원), 성동구(15억8000만원→14억600만원)으로 줄었다.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와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 지역의 경우 규제 이후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지만, 거래량이 둔화되고 중위 거래가격이 낮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노원구의 중위 거래가격은 5억9500만원에서 5억1900만원으로 떨어졌다. 금천구의 중위 거래가격은 5억8250만원에서 5억4500만원으로 3750만원 감소했다.

경기도는 지역별로 상반된 흐름이 관측됐다. 경기도 전체 중위 거래가격은 5억5000만원에서 4억4500만원으로 1억500만원 감소했으며 전용면적은 78㎡에서 75㎡로 줄었다. 대책 발표 전 수원시 영통구, 성남시 분당구, 용인 수지구 등이 경기도의 가격 상승을 주도했으나 대책 발표 이후 거래량과 가격 모두 감소했다.

한편 과천시의 경우 거래량은 적었지만, ‘센트럴파크푸르지오써밋’(27억원), ‘과천푸르지오써밋’(20억8500만원) 등 고가 신축 단지의 거래가 중위 거래가격을 끌어올린 요인으로 작용했다. 직방 측은 거래 건수가 적은 상황에서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일부 수요가 유입되면서 중위 거래가격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직방 측은 “6‧27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단기간 내 거래량, 면적, 가격 모두 하향 조정되며 빠르게 관망 국면으로 접어들었다”며 “거래 가능한 아파트 조건 자체가 바뀌며 중소형‧실현 가능한 가격대 중심의 거래가 증가했다. 이는 심리적 위축이라기보다는 자금 여건과 대출 가능 범위에 따른 ‘선택 구조의 재편’이라고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다만, 거래 자체가 급감한 상황에서 나타난 현상이라 현재 조정 흐름이 일시적 착시인지 구조적 전환의 신호인지 시간을 두고 관찰할 필요가 있다”며 “향후 금리‧대출 규제 변화, 추가 정책의 방향성에 따라 수요자의 선택 기준과 거래 흐름 역시 다시 조정될 여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유림 기자
reason@kukinews.com
이유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