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침체된 지역 건설산업의 체질 개선과 수주 확대를 위해 공공기관, 업계와 함께 '삼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실익 중심 활성화 전략에 착수했다.
울산시는 28일 시청에서 12개 기관·단체와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9일 밝혔다.
참여 기관은 한국동서발전, 한국석유공사, 에너지경제연구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에너지공단, KAC한국공항공사, 울산공항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 도로교통공단 운전면허본부, 대한건설협회, 전문건설협회, 기계설비건설협회 울산지회다.
이 기관들은 모두 울산지역에서 연간 수백억원 규모의 건설 발주를 집행하는 핵심 기관들이다. 시는 이번 협약이 단순한 명분 쌓기가 아닌 실제 공사 참여로 직결되는 구조적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석유공사의 원유배관 교체공사나 한국동서발전의 울산기력발전소 해체공사 등은 수백억 원대 물량이 예고된 대형 공공사업으로, 시가 주목하는 '시장 진입 교두보'로 꼽힌다.
시는 협약 성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수도권 대형 건설사를 직접 방문하는 영업 외교도 병행하고 있다. 이달 9일부터 11일까지 하도급관리팀 공무원과 지역 건설단체 관계자 등으로 구성된 방문단을 조직해 서울·경기 본사를 둔 대형 건설사들을 대상으로 지역업체 활용 유도와 협조를 요청했다.
시는 이를 통해 지난해 지역건설업 하도급률 33.08%를 올해 35%까지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다. 단순 수치 이상의 실질 계약 유입률 제고가 관건인 셈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혁신도시 공공기관과 맺는 첫 지역 연대 사례로, 단순 상징이 아니라 지역 업체 생존과 성장의 판을 바꾸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며 "향후엔 발전소, 산업단지 등 타 사업권역으로까지 협약 대상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