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2026년도 정부예산안에 지역 핵심사업 반영을 목표로 전방위 설득전에 나섰다. '정부의 재정지출 구조조정' 기조 속에서도 반드시 돌파구를 찾겠다는 의지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29일 정부세종청사를 방문해 기획재정부 예산실장, 사회예산심의관, 경제예산심의관 등을 잇따라 만나 울산의 전략사업 11건을 설명하고 국비 지원의 당위성을 적극 건의했다.
이번에 울산시가 정부에 반영을 요청한 주요 사업은 카누 슬라럼센터 건립, 반구천 세계암각화센터 조성, 태화강 친수관광체험 활성화, 도시생태축 복원, 울산∼양산∼부산 광역철도 건설, 수소엔진 실증 기반 구축, 한미 조선협력 글로벌 경쟁력 강화, 울산 새싹기업단지 조성, 창업중심대학 유치, 라이콘 타운(창의 소상공인 공간) 조성, 해저공간 기술 개발 등이다.
김 시장은 면담 자리에서 “울산의 주력산업을 넘어 신산업까지 총망라한 미래 먹거리”라며 “정부가 국토 균형발전과 산업전환을 실현하려면 울산과 같은 산업수도에 대한 투자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김 시장은 행정안전부를 찾아 내년도 보통교부세 산정지표 개선과 지방미정산분 조기 반영도 요청했다. 지방정부의 재정 자립 기반 강화와 제조업 중심 도시 특성을 반영한 재정평가체계의 개선 필요성도 강조했다.
정부는 다음 달 중 기획재정부의 예산 심의를 마무리하고 9월 3일까지 2026년도 예산안을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이후 국회 심의와 본회의 의결을 거쳐 12월 2일 최종 확정된다.
김 시장은 "정부의 재정지출 효율화 기조로 신규 사업 반영이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울산의 재도약을 이끌 핵심사업은 반드시 관철시키겠다"며 "기재부와 국회를 끝까지 설득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