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전 통일부장관의 무소속 출마와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검찰 수사 등 메가톤급 이슈가 연이어 등장하는 바람에 ‘이명박 정부 심판’이 선거 쟁점에서 한발 물러나 있기 때문이다. ‘MB 실정 심판’이라는 야권의 공격도 우려했던 것보다는 약하다. 청와대 관계자가 “이럴 줄 알았으면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출마해도 될 뻔 했다”고 말할 정도로 여유가 감지된다.
하지만 재·보선 판세에 촉각을 곤두세우기는 마찬가지다. 전주 2개 선거구를 제외한 3개 선거구에 관심이 집중된 상태다. 3곳 모두 마음을 놓을 수 없는 구도라는 게 고민거리다. 부평을은 초박빙이고 경주 역시 투표함을 열어봐야 알 수 있다는 게 자체 판단이다. 특히 안정권으로 내심 분류했던 울산북구에 진보신당과 민주노동당이 단일후보를 만들어내자 당황하는 기색마저 읽힌다.
한치 앞을 알 수 없는 혼돈 양상으로 전개되자 선거 이후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점점 높아진다. 3곳에서 최소 1승을 하는 등 승자없는 재·보선이 될 경우 청와대의 국정운영엔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0대5라는 최악의 결과가 나온다면 선거전에서 잠잠했던 MB 정부 심판론이 오히려 힘을 받을 수 있다. 청와대의 국정 주도권이 현저히 약화될 수 있는 것이다.
물밑에선 개각이나 청와대 개편론이 꿈틀거린다. 촛불시위 1주년을 맞아 일정 정도의 인적쇄신을 단행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돈다. 특히 비정규직 법안 개정을 놓고 혼선을 빚은 노동부와 학업성취도 부실 평가 논란을 자초한 교육과학기술부 등 특정 부처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국면 쇄신용 개각엔 부정적이지만 장관이 일을 잘못하고 있다는 판단이 설 경우 개각 카드를 단행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