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상황을 지켜볼 뿐”이라고 말을 아꼈다. 박 전 대표측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서다. 하지만 박 전 대표가 기존 입장에서 유턴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내다봤다. 김 의원의 독자 출마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는 상황이다.
박 전 대표의 완강한 거부로 인해 “친박을 껴안아야 한다”고 주장했던 청와대 내부 주화파들의 입지는 당분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강경 노선의 주전파들이 주도권을 잡는 게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온다. 이럴 경우, 친이·친박의 화학적 결합은 더 힘들어질 수 있다. 청와대 내부에선 “박 전 대표측이 당 화합 노력에 찬물을 끼얹었다”며 여론몰이를 통해 친박 진영을 압박해야 한다는 역공론이 고개를 들고 있다.
청와대 정무라인도 도마 위에 올랐다. 사전 조율이 부족한 상황에서 김무성 카드를 암묵적으로 지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에도 박 전 대표의 의중 파악에 실패해 청와대만 우습게 됐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청와대 정무라인은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한 관계자는 “원내대표 선출 문제는 당의 문제이며 특히 김무성 카드는 박희태 대표가 주도했기 때문에 청와대는 나서지 않았다”고 항변했다.
그러나 6월 입법전쟁, 10월 재·보선 등 산적한 정치일정을 감안할 때 박 전 대표측을 안고 가야 한다는 목소리도 여전하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