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결과가 나왔다. 종전 교육당국 평가나 교사·학생·학부모 설문조사에서 모두 개인이나 학교를 가장 원인으로 꼽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11일 재단법인 경기도교육연구원이 최근 수행한 ‘학습부진 학생 실태와 지원방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초·중학생의 학습부진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사회경제적 배경인 것으로 분석됐다.
앞서 지난해 10∼11월 진행된 경기지역 교사(4272명), 학생(5705명), 학부모(2912명) 대상 학습부진 원인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빈곤(1.4∼2.4)과 열악한 지역환경(1.6∼2.3) 등 사회적 요인보다 학습능력 부족(2.3∼3.1), 노력 부족(2.6∼3.4), 학습동기 부족(2.1∼3.4), 주의 산만(2.0∼3.3) 등 개인적 요인을 주요 원인으로 지목했다.
그러나 2012년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자료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공부시간, 독서 정도, 문화활동 정도 등이 동일할 때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국어, 영어, 수학 성적이 하위 10% 또는 20% 이하에 해당할 확률을 1.3∼1.8배가량 높이는 것으로 나왔다. 사회경제적 배경은 부모의 학력과 가구소득으로, 각각의 표준점수를 평균해 연구분석에 적용했다.
이혜정 책임연구원은 “학습부진의 주요 원인이 학생이 처한 사회구조적 조건이라면 이를 보상하는 차원의 지원이 이뤄지는 것이 마땅하다”며 “열악한 사회경제적 상황에서 결핍된, 다양한 형태의 돌봄과 교육적 지원을 학교교육과 사회복지로 보충할 때 제대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수원=국민일보 쿠키뉴스 김도영 기자 doyou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