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개발원은 지난해 개인용 자동차보험의 가입자와 손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외제차 평균 수리비는 276만원으로 국산차(94만원)의 2.9배에 달했다고 29일 밝혔다.
수리비를 비싸게 만든 것은 다름 아닌 부품가격이었다. 외제차의 경우 부품 값으로 지급된 보험료가 건당 평균 200만7000원으로 국산차(43만1000원)의 4.7배나 됐다. 사고가 났을 때 차량을 수리하지 않고 보험사로부터 예상되는 수리비를 현금으로 직접 받는 ‘미수선 수리비’도 국산차의 3.9배에 달했다. 사고 후 수리기간 동안 차 소유주에게 다른 차를 빌려주는 렌트비 역시 외제차가 131만원으로 국산차(40만원)의 3.3배였다. 이 같은 차이는 외제차와 국산차의 차량 가격 자체보다도 크다. 외제차는 평균 차량금액이 3479만원으로 국산차(1148만원)의 약 3배 수준이었다.
높은 수리비는 보험료도 높였다. 외제차 한 대당 평균 보험료는 국산차(58만원)의 1.8배였고, 외제차의 자동차보험 대물가입 평균 금액도 2억1000만원으로 국산차(1억7000만원)의 1.3배였다. 자차보험 가입률도 외제차(83.1%)가 국산차(68.4%)보다 14.7% 포인트 높았다.
보험개발원은 “외제차의 수리비 자체도 높지만 미수선 수리비의 경우 외제차는 최근 5년 사이 29.1%나 급증, 국산차(10.5%) 증가율보다 가파르다”면서 “수리기간이 길어서 렌트비도 과다하게 지급되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차량 수리기간 중 이용한 렌트카 비용이 차량 수리비보다 더 높아지는 비정상적인 사례도 지난해 3만5000건에 달했을 정도다.
보험개발원은 외제차의 높은 보험금 절감을 위해 대체 부품을 사용할 수 있는 대체부품 인증제도 등이 적극 추진되야 한다고 지적했다. 임주혁 보험개발원 통계팀장은 “대체부품 인증제가 내년 1월 시행을 앞두고 있지만 아직 이를 위한 법적·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지 않고 있다”면서 “대체부품의 최대 수요처인 보험사가 대체 부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차보험약관 개정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민영 기자 my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