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에도 몇 번씩 사용하는 치약에 발암물질이 들어있다니, 충격입니다. 정부가 우릴 속인 걸까요. 이제 우리 아이에게 믿고 쓸 수 있는 제품은 아무것도 없는 것 같습니다.”
하루에 최소 두 번 이상 양치질을 하는 ‘치약’. 그런데 치약에 포함된 파라벤 등 유해성분이 구강 내에 누적돼 몸속에 흡수되면 인체에 위험할 수 있다는 자료가 나와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최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이 국내에서 시판되는 치약 약 3분의 2에서 암을 유발할 수 있는 파라벤과 트리클로산이 함유됐다는 내용의 국정감사 자료를 배포해 엄마들은 불안에 떨었습니다.
하지만 식약처는 치약이 안전하게 관리되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식약처는 긴급 해명 자료를 통해 “치약 보존제로 사용하고 있는 파라벤은 함량 기준을 0.2% 이하로 관리하고 있다. 다만 2개 품목은 함량을 잘못 기재해 결과적으로 파라벤 기준을 초과한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는 내용의 보도가 나오게 됐다”며 “트리클로산은 치약 허가·심사 과정에서 품목별로 안전성과 유효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과연 누구 말을 믿어야 할까요. 엄마들은 혼란스럽기만 합니다.
김재원 의원은 치약의 파라벤 함량은 0.2%를 넘지 못하도록 관리기준을 설정해 놓았지만 트리클로산은 관리 기준치조차 없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트라클로산은 이미 해외에서도 유해성분이라고 판명이 난 성분인데요.
미국은 가장 먼저 이 성분이 유해한 성분임을 인지하고 법적인 조치도 취한 나라입니다. 실제 2004년 미국 질병관리방지본부에서 국민 2517명을 대상으로 트리클로산의 소변 내 농도를 측정한 결과 57.8%∼74.6%에서 트리클로산이 검출됐고 모체의 혈장과 모유에서도 높은 농도의 트리클로산이 검출돼, 트리클로산이 몸속에 흡수되고 있다는 것이 사실로 확인됐다고 합니다. 이에 미국의 ‘콜게이트-팜올리브’사는 2011년부터 트리콜리산 성분의 사용을 전면 중지했고, 미네소타주에서는 지난 5월 ‘트리클로산’ 사용을 금지하는 법까지 통과시켰습니다.
유럽도 마찬가지입니다. 유럽연합도 지난해 10월 화장품의 보존재로 사용되고 있는 트리클로산과 다섯 종류의 파라벤 성분의 사용을 금지하고, 이를 세계무역기구에도 통보한 바 있습니다. 또한 캐나다 역시 구강세척제의 트리클로산 함유량을 0.03%이하로 관리하고 있고 12세 이하 어린이에게는 트리클로산 성분의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있습니다.
반면 우리나라는 어떨까요. 우리나라는 어린이용 치약을 별도로 구분관리하지 않고 있고, 파라벤이 함유된 치약 중 ‘어린이치약’이 무려 63개나 된다고 합니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이하 식약처)는 파라벤과 트리콜리산 두 성분이 전 세계적으로 위험성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고 국가마다 제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는 점에 동의를 합니다. 하지만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고 인체 임상 기준이 없다는 이유로 손을 놓고 있습니다. 국민의 건강과 안전에 가치를 두고 제조사가 성분의 안전성을 제대로 입증하지 않는 것은, 선도적으로 규제에 나서고 있는 유럽이나 미주 국가와는 대비가 되는 모습인데요.
이와 관련해 치과 전문의인 경희대 치과대학 박용덕 교수는 지난 6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파라벤 등 방부제가 아이들 건강에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박 교수는 “파라벤은 일종의 방부제이고 트리클로산도 균을 억제해 주는 항균제로 쓰인다. 이러한 성분은 성호르몬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아이들은 고환암, 성인 여성은 유방암까지 일으킬 수 있는 무서운 물질”이라고 말했습니다.
식약처가 값이 싸고 유통기한이 길다는 이유로 유해 성분을 사용을 용인하면서 국민들에게 치약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는 주장을 계속한다면, 국민의 건강권을 담보로 정부가 기업의 상술에 놀아난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입니다.
예비 엄마들, 그리고 어린 자녀를 둔 엄마들은 불안에 떨고 있습니다. 태어날 아이가, 그리고 지금 성장하고 있는 아이가 이러한 유해 물질에 노출돼 건강에 위협을 받을까 하는 생각 때문이죠.
엄마들이 자주 찾는 카페에 가보면 벌써부터 ‘유해성분 없는 치약’에 대해 묻는 글들이 쇄도하고 있습니다.
이제 엄마들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 천연 치약을 만들어 사용해야 할까요.
장윤형 기자 vitamin@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