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조현우 기자]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핫라인은 유료였다.
메르스 사망·확진자가 계속 늘어나는 등 사태가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는 메르스 증상을 보일 때는 병·의원을 찾기에 앞서 집에 대기하면서 일단 긴급전화(043-719-7777)로 연락해 줄 것을 당부했다. 최경환 총리대행은 10일에도 “정부가 공개한 메르스 노출 의료기관을 꼭 확인하고 해당 의료기관을 특정기간 내 이용하신 분들께서는 이상 증세가 있을 경우 임의로 병원에 가지 말고 반드시 보건소에 신고한 후 보건요원의 안내를 따라달라”고 부탁했다.
하지만 메르스 핫라인은 정작 통화가 쉽지 않다. 확산 일로에 있던 이달 초부터 연결 자체가 어렵다.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한 매체와의 통화에서 “현재 상담을 받는 직원은 160명으로 80명씩 절반으로 나눠 12시간 맞교대로 상담을 받고 있지만, 하루 3만여건의 상담전화로 대처하기 쉽지 않는 형편”이라고 답했다.
이 번호는 원래 에볼라 핫라인이었다. 지난달 29일 보건당국이 에볼라 핫라인을 메르스 핫라인으로 바꾼 것이다. 그나마 처음엔 1대로 운영되다가 20대, 40대, 80대로 늘어났다. 40대까지는 질병관리본부 직원 80여명이 맡았으나, 80대로 늘어나면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등 보건복지부 직원들이 함께 상담을 하고 있다.
메르스 핫라인이 유료라는 점도 논란거리다. 인터넷신문 팩트올 취재에 따르면 핫라인 전화번호는 유료인데다 휴대전화로 전화를 걸면 이동통신사 3사 모두 초당 1.8원이 적용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통화가 안 돼 대기하고 있을 때도 요금이 부과된다. 핫라인으로 전화를 걸었을 때 5분을 기다려야 한다면 메르스 안내를 듣기도 전에 540원(1.8원x300초)을 내야 한다. 10분이면 1000원이 넘게 부과된다.
이에 대해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전화를 건 국민에게 국가가 후불로 요금을 환급해주는 방법 등 여러 방안을 고려했지만 현재로서는 확정된 것은 없다”고 해명했다.
최 총리대행은 이날 메르스 자가격리 대상자와 환자에게 긴급 생계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그는 “격리자의 생계에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을 확대하겠다”며 “모든 입원 환자·격리자에 긴급생계자금을 지원하고 ‘아이돌봄 서비스’를 최우선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메르스 증상을 확인하기 위해 핫라인에 도움을 요청하는 이들에 대한 지원은 현재까지 전혀 없는 셈이다. 핫라인 유료에 대해 SNS와 인터넷 커뮤니티에 ‘역시 창조경제’ ‘이 와중에 세수 확보’ 등 비아냥이 나오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