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구전사로 국민에게 큰 기쁨을 주었던 유상철 프로축구 인천 유나이티드 감독. 그런 그가 췌장암 4기 진단을 받았다는 소식이 알려졌다. 유 감독은 최근 팬들에게 투병 사실을 알리며 “'할 수 있다'는 긍정의 힘으로 병마와 싸워 이겨내겠다”는 다짐을 전했다. 췌장암은 증상이 좀처럼 나타나지 않아 조기발견이 어렵기로 유명하다. 다만, 병이 많이 진행되기 전에 미리 발견하면 수술이 가능하고, 완치 가능성도 높일 수 있다. 췌장암의 징후와 대처법에 대해 알아봤다.
◇갑자기 당뇨 생기거나 심해졌다면 의심
췌장암은 당뇨와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갑자기 당뇨가 생겼거나 앓고 있던 당뇨가 심해져 당뇨 조절이 안 된다면 췌장암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고령자의 경우 급성췌장염의 형태로 췌장암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나이가 들어서 급성췌장염이 생겼다면 췌장암 검사를 받아봐야 한다.
가천대 길병원 소화기내과 김연석 교수는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소화불량과 같은 증상뿐이라서 조기에 발견하기 어렵다. 하지만, 병이 진행되면 눈이나 피부 흰자위가 누렇게 변하는 황달이 온다”며 “또 식욕이 없어지고, 음식을 먹고 나면 아파서 식사를 잘 하지 않거나 평소 체중이 10% 이상 감소하거나 갑작스러운 당뇨병이 발생해도 췌장암을 의심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유전적 소인에 의한 췌장암 발병률은 약 10%에 달한다. 친족 중 50세 이전에 췌장암을 앓았거나 직계 가족 가운데 췌장암 환자가 둘 이상 있다면 췌장암 검사를 주기적으로 받아야 한다.
◇췌장암, 6년새 2배 증가..비만, 과도한 육류섭취 등 원인 지목
우리나라에서도 고령화와 함께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당뇨병, 비만 인구가 늘면서 췌장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실제 국민건강보험공단 2017년 자료에 따르면 췌장암 신규 등록 환자 수는 2011년 3926명이었던 것이 2012년 5684명, 2013년 6357명으로 늘었고, 이후 2014년 6892명, 2015년 7558명, 2016년 8395명으로 증가했다. 6년 사이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김연석 교수는 “췌장암의 주요 원인은 연령으로 환자 대부분이 60~80대이다. 비만도 큰 원인으로 지목되며 과도한 육류나 탄수화물 섭취 역시 췌장암의 위험도를 높인다”며 “일부 화학물질, 즉 각종 용매제, 휘발유와 그 관련 물질, 살충제와 베타나프틸아민, 벤지딘 등의 화학물질도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고 말했다.
췌장암 신규 환자의 증가는 우리나라에 고령인구가 많아진 측면이 크다. 실제 통계청에 따르면 췌장암 환자의 평균 발생 나이는 65세이다. 30세 이전에는 췌장암이 발생확률이 매우 낮다.
2017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췌장암으로 사망한 총 환자 수는 5614명인데, 이중 6~80대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70대는 1883명, 60대는 1330명, 80대는 1285명에 달했고, 50대는 746명에 불과했다. 하지만 그 외의 나이 대는 상대적으로 소수였다. 40, 30대는 각각 195명, 31명이고, 90세 이상이 144명이었다.
무엇보다 췌장암은 초기 증상이 없고, 증상이 있다면 병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가 많아 생존율이 낮다. 혈액 검사로 진단할 수 있는 다른 암과 달리, 췌장암은 이 같은 방법으로 발견할 수 없다. 그나마 혈액검사의 일종인 종양 표지자 검사가 있으나 예측률은 낮다.
◇췌장암, 주로 영상기기 활용해 검사
췌장암은 주로 영상기기로 복부 쪽을 검사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췌장암 검진 시 가장 접근성이 높은 것은 복부 초음파 검사다. 이 검사는 안전하긴 하지만, 검사자의 능력에 따라 정확도가 크게 달라진다. 다만, 췌장의 몸통, 꼬리 쪽을 자세하게 보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고, 환자의 비만도와 장내 공기 등에 의해 검사 상의 제약이 있다. 작은 크기의 췌장암은 진단이 어렵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CT)은 췌장암의 진단과 병의 진행 단계 측정에 유용하다. 병기 결정에 필요하므로 고령의 황달 환자에게는 초음파보다 CT가 우선시된다.
자기공명영상(MRI)도 있다. MRI는 CT결과가 애매할 경우 추가 진단을 위해 사용된다. 췌관이나 담관의 관찰에 매우 효과적으로, 간전이 발견에 유용하다.
내시경검사법 중에는 최근 내시경 초음파검사(EUS)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췌장암 진단 정확도가 높고, 검사하면서 동시에 조직검사도 가능하다. 췌장 종양과 만성 췌장염의 감별, 2cm 이하 작은 종양의 진단, 병기 결정 등에 초음파나 CT 보다 유용하다는 보고가 많다.
김연석 교수는 “내시경 초음파검사는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위 내시경검사보다 힘들고 간혹 심각한 합병증도 올 수 있어 경험 많은 의료진이 담당해야 한다”며 “PET 검사의 경우 잠재 전이 병소 발견이나 수술 후의 재발 판정, 암의 호전 여부 판별 등에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수술적 절제로 완치 기대
췌장암은 수술이 완치를 기대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하지만 수술적 절제는 암이 췌장에 국한된 경우에 한한다. 수술 방법은 암의 위치에 따라 다르다.
항암 화학요법은 암세포를 죽이기 위해 일정한 주기로 체내에 항암제를 투여하는 것이다. 수술을 할 수 없는 경우 생명을 연장하고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투여한다.
또한 수술 후 남아 있을지 모를 암세포의 성장을 막기 위해 사용한다. 그 외에 항암제 투여와 함께 방사선치료를 병행하기도 한다. 수술 중 방사선을 조사하기도 하는데, 암이 뼈로 전이된 경우 통증 완화와 골절 예방을 위해 즉시 방사선치료를 한다.
김연석 교수는 “췌장암은 무엇보다 예방이 우선돼야 한다. 건강한 식생활과 적절한 체중, 꾸준한 운동, 그리고 금주와 금연을 실천하는 것이 좋다”며 “여전히 5년 생존율은 낮지만, 향후 수술기법이나 항암요법, 면역 치료제 등이 개발되면서 치료 효과가 상당히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전미옥 기자 romeo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