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이소연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지원시설 나눔의집이 수십억원의 후원금을 모집한 뒤 할머니들에게 사용하지 않고 땅을 사거나 건물을 짓기 위해 쌓아둔 것으로 확인됐다.
송기춘 나눔의집 민관합동조사단 공동단장은 1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나눔의집 민관합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나눔의집은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약 88억원의 후원금을 모집했다. 법에 따르면 1000만원 이상의 기부 금품을 모집하려는 사람은 등록청에 등록해야 한다.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행정안전부에 등록해야 한다. 그러나 나눔의집 법인과 시설이 기부금품법에 의한 모집등록을 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모금된 후원금의 액수와 사용 내역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등록청의 업무 검사도 받지 않았다.
후원된 금액은 위안부 피해자인 할머니들에게 제대로 사용됐을까. 후원금 88억여원 중 할머니들이 생활하고 있는 나눔의집 시설로 보내진 금액은 2.3%인 2억원에 불과했다. 2억원 또한 시설의 운영을 위한 간접 경비로 파악됐다.
후원금 중 26억여원은 나눔의집 운영법인의 재산조성비로 사용됐다. 재산조성비는 토지매입과 생활관 증축공사, 유물전시관 및 추모관 신축비, 추모공원 조성비 등으로 쓰여다.
나머지 후원금은 국제평화인권센터, 요양원 건립 등을 위해 쌓아둔 것으로 전해졌다.
나눔의집 법인 이사회도 엉망으로 운영됐다. 나눔의집은 법인 정관에 이사 제척제도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사 후보자가 자신을 이사로 선임하는 과정에 참여해 이사로 의결했다. 지난해 11월 사외이사 3명이 자신들의 이사 선임에 관한 안건 의결에 참여했다. 이들을 제외하면 개의정족수가 미달됐으나 회의는 진행됐다.
할머니에 대한 학대 정황도 있었다. 간병인이 “할머니, 갖다 버린다”, “혼나봐야 한다” 등의 언어폭력을 가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러한 행위는 의사소통과 거동이 불가능한 할머니에게 집중됐다.
사료가 될 수 있는 할머니들의 활동 기록물 또한 방치됐다. 할머니들의 그림과 사진, 국민들의 응원 편지 등은 포댓자루나 비닐에 넣어져 건물 베란다에 방치됐다.
송 단장은 “법인과 시설 운영에 문제가 드러난 만큼 전문가와 시민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경기도와 광주시는 정상화 방안이 잘 시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나눔의집은 위안부 피해자의 생활과 보호를 목적으로 지난 1992년 설립됐다. 위안부 피해자 5명이 생활 중이며 평균 연령은 95세다. 지난 5월 김대월 학예실장 등 나눔의집 직원 7명은 “나눔의집이 할머니들을 위해 운영되고 있지 않다”는 취지의 내부고발을 진행했다.
이에 경기도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나눔의집 의혹 관련 진상규명에 나서다. 지난달 6일부터 같은 달 22일까지 행정과 시설 운영, 회계, 인권, 역사적 가치 등 4개 반으로 나눠 나눔의집 운영법인과 나눔의집 시설,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및 국제평화인권센터 등에 대해 조사했다.
soyeon@kukinews.com
송기춘 나눔의집 민관합동조사단 공동단장은 11일 경기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나눔의집 민관합동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나눔의집은 지난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약 88억원의 후원금을 모집했다. 법에 따르면 1000만원 이상의 기부 금품을 모집하려는 사람은 등록청에 등록해야 한다. 10억원을 초과할 경우 행정안전부에 등록해야 한다. 그러나 나눔의집 법인과 시설이 기부금품법에 의한 모집등록을 하지 않았다. 이로 인해 모금된 후원금의 액수와 사용 내역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등록청의 업무 검사도 받지 않았다.
후원된 금액은 위안부 피해자인 할머니들에게 제대로 사용됐을까. 후원금 88억여원 중 할머니들이 생활하고 있는 나눔의집 시설로 보내진 금액은 2.3%인 2억원에 불과했다. 2억원 또한 시설의 운영을 위한 간접 경비로 파악됐다.
후원금 중 26억여원은 나눔의집 운영법인의 재산조성비로 사용됐다. 재산조성비는 토지매입과 생활관 증축공사, 유물전시관 및 추모관 신축비, 추모공원 조성비 등으로 쓰여다.
나머지 후원금은 국제평화인권센터, 요양원 건립 등을 위해 쌓아둔 것으로 전해졌다.
나눔의집 법인 이사회도 엉망으로 운영됐다. 나눔의집은 법인 정관에 이사 제척제도를 두고 있다. 그러나 이사 후보자가 자신을 이사로 선임하는 과정에 참여해 이사로 의결했다. 지난해 11월 사외이사 3명이 자신들의 이사 선임에 관한 안건 의결에 참여했다. 이들을 제외하면 개의정족수가 미달됐으나 회의는 진행됐다.
할머니에 대한 학대 정황도 있었다. 간병인이 “할머니, 갖다 버린다”, “혼나봐야 한다” 등의 언어폭력을 가한 사실이 확인됐다. 이러한 행위는 의사소통과 거동이 불가능한 할머니에게 집중됐다.
사료가 될 수 있는 할머니들의 활동 기록물 또한 방치됐다. 할머니들의 그림과 사진, 국민들의 응원 편지 등은 포댓자루나 비닐에 넣어져 건물 베란다에 방치됐다.
송 단장은 “법인과 시설 운영에 문제가 드러난 만큼 전문가와 시민이 참여하는 민관협의회를 구성해 정상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경기도와 광주시는 정상화 방안이 잘 시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설명했다.
나눔의집은 위안부 피해자의 생활과 보호를 목적으로 지난 1992년 설립됐다. 위안부 피해자 5명이 생활 중이며 평균 연령은 95세다. 지난 5월 김대월 학예실장 등 나눔의집 직원 7명은 “나눔의집이 할머니들을 위해 운영되고 있지 않다”는 취지의 내부고발을 진행했다.
이에 경기도는 민관합동조사단을 꾸려 나눔의집 의혹 관련 진상규명에 나서다. 지난달 6일부터 같은 달 22일까지 행정과 시설 운영, 회계, 인권, 역사적 가치 등 4개 반으로 나눠 나눔의집 운영법인과 나눔의집 시설,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및 국제평화인권센터 등에 대해 조사했다.
soyeon@kukinews.com
Copyright © KUKI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