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서울 대학의 진로선택과목 활용 방법

인서울 대학의 진로선택과목 활용 방법

글·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소장

기사승인 2021-04-06 08:46:51
고등학교 진로선택과목은 공통과목이나 일반선택과목과 달리 등급을 산출하지 않는다. 또 원점수 기준으로 80점 이상이면 ‘A’, 80점 미만 60점 이상인 경우 ‘B’, 60점 미만인 경우 ‘C’의 성취도가 부여되어 최고수준의 성취도를 받기가 수월한 편이어서, 학생들은 진로선택과목에 다소 소홀해지기 쉽다. 하지만 오는 2022학년도 대입 학생부교과전형 선발인원이 큰 폭으로 늘어나며, 또 서울권역 33개 대학 중 16개 대학 학생부교과전형이 진로선택과목을 평가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가벼이 여겨서는 안 된다. 2022학년도 서울 소재 대학 학생부 교과 전형의 진로선택과목 활용방법에 대해 알아보자(2021년 4월 말 발표될 수시 모집요강에서 변경사항 있을 수 있음).

◇교과전형, 진로선택과목 어떻게 반영할까?

서울과학기술대 등 13개 서울 소재 대학은 성취도(A, B, C)에 따른 환산점수를 부여한다. 이 중 건국대 등 7개 대학은 이수 단위까지 고려해 성적을 산출하는데 대체로 성취도 A에 1등급을 부여해 학생들의 평균 등급 상승을 유도한다. 또 숙명여대는 성취도 B에도 2등급이라는 높은 등급을 부여하기 때문에 진로선택과목에 따른 학생들 간 변별력은 매우 작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화여대의 경우에는 성취도 B에 4등급 점수를 부여하기 때문에 진로선택과목에 따른 변별력이 큰 편이다. 이처럼 대학간 성적 산출 방식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유심히 살펴야 한다.

일부에서는 진로선택과목의 성적 부풀리기가 일어나 성취도 A를 받는 학생 비율이 높아질 것을 우려하는데, 고려대와 서강대의 경우 성취도별 분포비율까지 고려하여 학생부교과 성적을 산출한다. 따라서 해당 대학에는 높은 성취도를 받는 학생 수가 적은 고교일수록 유리함이 생긴다.

동국대와 성균관대는 성취도에 따른 단순 점수를 부여하는 것이 아니라 진로선택과목의 취지를 살려 정성평가 방식으로 평가한다. 성균관대는 진로선택과목 및 전문교과과목의 교과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학업수월성 10점과 학업충실성 10점으로 구분하여 점수를 매긴다. 또, 동국대는 진로선택과목을 정량평가가 아닌 서류종합평가(40%)에서 학생부와 자기소개서를 종합 평가함으로써 평가에 포함한다.

세종대는 성취도가 아닌 원점수를 바탕으로 환산점수를 산출한다.  원점수 90점 이상에 1,000점, 90점 미만 80점 이상에서 990점을 부여하는 식이다. 동일한 A의 성취도라고 하더라도 원점수가 높은 경우에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서울 소재 33개 대학 진로선택과목 반영방법 분석. 출처 : 2022학년도 대입정보 119 및 일부 대학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

진로선택과목 활용방법의 대학 간 차이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건국대, 경희대, 상명대 등 일부대학은 진로선택과목을 모두 반영하지 않고 일부 우수한 과목만을 활용하지만 고려대, 서강대 등은 대학 반영 교과에 따른 모든 과목을 활용한다. 또, 서울과기대는 자연계열 모집단위로 지원시에 ‘기하’, ‘물리학II’, ‘화학II’, ‘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중 2개 이상 반영이 필수이고 한양대는 자연계열 모집단위 지원 시 ‘미적분’ 또는 ‘기하’ 중 1과목 이상, ‘물리학II’, ‘화학II’, ‘생명과학II’, ‘지구과학II’ 중 1과목 이상을 이수하지 않으면 추천을 받을 수 없으므로, 관심대학의 진로선택과목 반영 방법을 지원전에 꼼꼼히 살펴야 한다.

서울 소재 대학 진로 선택 과목 반영방법 예시. 출처 : 2022학년도 대입정보 119 및 일부 대학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 반영과목 수는 대학의 반영교과 내 과목에 한정

진로선택과목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대입에 반영되는데, 대학마다 평가 방식이 매우 달라 학생들이 이를 어떻게 대비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등급이 산출되지 않는 과목이라고 하더라도 최선을 다해 좋은 성적을 얻으려 노력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인이 관심을 가지는 분야에 대한 역량을 세특을 통해 보여주려 주도적인 주제 탐색 과정을 놓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
이영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