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부동산 정보업체 경제만랩이 KB부동산리브온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5월 서울의 3.3㎡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4358만원이었다. 이는 문재인 정부 출범 당시인 2017년 5월2325만원에서 약 2032만원 오른 금액이다. 상승률은 87.4%에 달한다.
서울의 25개 자치구 중에서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가 가장 많이 올랐다. 강남구는 같은 기간 3.3㎡당 매매가격이 4397만원에서 7637만원으로 3239만원 올랐다. 서초구는 3830만원에서 6671만원으로 2841만원 상승했고, 송파구는 2870만원에서 5554만원으로 올랐다.
강남3구 외에도 노도강(노원·도봉·강북)에서도 아파트 매매가격이 두 배 가량 치솟았다. 예컨대 서울 노원구 월계동에 위치한 ‘현대’ 전용면적 84.98㎡은 지난 2017년 5월11일 4억2300만원(7층)에 거래됐지만, 올해 5월5일에는 9억원(6층)에 거래돼 4억7700만원이 올라 112.8% 상승률을 기록했다.
최근에는 아파트뿐만 아니라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 등과 같은 비아파트에서도 이같은 집값 상승이 벌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전국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의 5월 연립주택 매매가격 변동률은 0.25%를 기록해 전달(0.20%)보다 올랐다. 경기도도 0.34%로 전달(0.25%)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경기도 연립주택 변동률은 올해 들어 0.20~0.30% 사이를 오가며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고 있다. 반면 인천은 0.05%로 4월 0.22%에 비해 크게 내렸다.
단독주택의 경우 수도권은 서울과 인천이 큰 폭으로 올랐다. 서울 단독주택 변동률은 4~5월 연속으로 상승 폭을 키워 4월 0.36%에 이어 5월 0.39%를 기록했다. 인천은 4월 0.19%로 전달(0.21%)보다 다소 상승 폭이 줄었다가, 5월 들어 0.48%로 두 배 이상 치솟았다.
정부가 3기신도시 공급, 공공재개발 등과 같은 주택공급 시그널을 보낸 것과는 대조적인 상항이다. 전문가들은 시중 유동자금이 3100조원을 넘어선 상황에서 정부 주도 하의 공급 속도가 늦어질 경우, 해당 자금들이 서울의 신축 및 기존 아파트와 상대적으로 규제가 덜한 오피스텔, 단독, 다세대주택으로 흐를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이번 재개발 완화방안으로 집값이 안정화되기는 어려울 거 같다”면서 “현재 시중 유동자금이 3100조를 넘어섰다. 이 유동자금이 서울의 경우 신축 아파트나 기존 아파트로, 서울이 아니라면 수도권 등으로 퍼지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아파트가 아닌 오피스텔, 단독주택, 다세대주택으로 들어갈 가능성도 있다”며 “재개발‧재건축 투기수요를 근절하고자 하지만 모든 상품에 대한 억제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공공 주도 하의 주택공급에 한계성을 지적하며 민간 중심의 공급도 뒷받침돼야 집값 과열 현상을 막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황한솔 경제만랩 리서치연구원은 “문재인 정부는 주택가격안정화를 위해 공급은 막고 수요억제를 했지만, 결국 공급부족으로 아파트 가격이 상승했다”며 “공공주도 공급에 이어 민간 공급도 이뤄져야 가격 안정화가 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asj0525@kukinews.com